방지환

교수
  #열성 질환#지역사회감염#후천성면역결핍증

학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및 동대학원 졸업, 의학박사

경력

보라매병원 홍보실장(2018.9 - 2020.02)
보라매병원 기획조정실 기획부실장(2016.7 - 2018.8.31)
보라매병원 감염관리실장(2016.9 - 2020.02)
서울대병원 인턴, 내과 레지던트, 감염내과 전임의
국립중앙의료원 감염병센터 전문의
내과전문의, 감염내과 분과전문의
서울대학교병원 부교수

논문

Bang JH, Jung YH, Kim NJ, et al. Pseudomonas aeruginosa bacteremia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a comparison with bacteremia caused by Enterobacteriaceae. BMC Infect Dis. 2013; 13: 332.

Bang JH, Kim Y, et al. The predictability of claim-data-based comorbidity-adjusted models could be improved by using medication data. BMC Med Inform Decis Mak. 2013 Nov 20;13:128.

Joh JS, Bang JH, et al. Proportion of 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 i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mycobacterium tuberculosis co-infected patients in Korea. J Korean Med Sci. 2012 Oct;27(10):1143-6.

Bang JH, Jung YH, Kim NJ, et al. Prevalence of primary antiretroviral resistance: trends in Korea. AIDS Res Hum Retroviruses. 2008 Jan;24(1):83-5.

Retrobulbar optic neuritis and meningoencephalitis following progressive outer retinal necrosis due to CMV in a patient with AIDS. Infection. 2008 Oct;36(5):475-9.

Prevalence of primary antiretroviral resistance: trends in Korea. AIDS Res Hum Retroviruses. 2008 Jan;24(1):83-5.

In vitro ability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from bacteraemic patients with and without metastatic complications to invade vascular endothelial cells. J Med Microbiol. 2007 Oct;56:1290-5.

A survey of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Korea. J Antimicrob Chemother. 2007 Nov;60(5):1108-14.

Bacteremia is a prognostic factor for poor outcome in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Scand J Infect Dis. 2007;39(8):697-702.

Early modification of initial HAART regimen associated with poor clinical outcome in HIV patients. AIDS Res Hum Retroviruses. 2007 Jun;23(6):794-800.

Amebic liver abscess in HIV-infected patients, Republic of Korea. Emerg Infect Dis. 2007 Mar;13(3):516-7.

Tuberculosis manifested by immune reconstitution inflammatory syndrome during HAART. AIDS. 2007 Apr 23;21(7):875-7.

Effect of salicylic acid on invasion of human vascular endothelial cells by Staphylococcus aureus. EMS Immunol Med Microbiol. 2007 Feb;49(1):56-61.

The persistence of humoral and cellular immunities more than three decades after smallpox vaccination. Clin Microbiol Infect. 2007 Jan;13(1):91-3.

Immune reconstitution inflammatory syndrome in the first year after HAART: influence on long-term clinical outcome. AIDS. 2006 Nov 28;20(18):2390-2.

Community-acquired versus nosocomial Klebsiella pneumoniae bacteremia: clinical features, treatment outcomes, and clinical implica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J Korean Med Sci. 2006 Oct;21(5):816-22.

Prediction of residual immunity to smallpox, by means of an intradermal skin test with inactivated vaccinia virus. J Infect Dis. 2006 Aug 1;194(3):377-84.

Outcome of inappropriate empirical antibiotic therapy in patients with Staphylococcus aureus bacteraemia: analytical strategy using propensity scores. Clin Microbiol Infect. 2006 Jan;12(1):13-21.

처음 의료기관을 내원하는 노숙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감염인의 질병 진행 정도. 감염과화학요법. 2011;43(2):198-202.

후천성 면역 결핍증 환자에서 발생한 진행성 다발성 백질뇌병증 7예, 대한내과학회지. 2010;78(6):771-775.

대상포진 후 발생한 편측성 측 복부팽만 1예. 대한내과학회지. 2009;77(0):236-239.

A Study on the Adverse Events of the Yellow Fever Vaccine at an International Travelers’ Clinic. 감염과 화학요법. 2009;41(3):160-164.

해외여행자의 Atovaquone-proguanil 순응도. 감염과 화학요법. 2008;40(5):255-258. 식중독의 진단 및 임상 양상. 대한의사협회지. 2007;50(7):592-599.

3차 의료기관에 입원한 노숙자환자에서 감염질환의 유병율. 감염과 화학요법. 2007;39(4):183-188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을 일으킨 그람음성간균의 3세대 세팔로스포린 내성률 변화. 감염과 화학요법. 2007;39(3):165-167.

말라리아 예방약(mefloquine)을 복용한 후 발생한 부작용에 대한 임상적 고찰. 감염과 화학요법. 2007;39(3):159-164.

두창백신 접종 후 접종 부위와 드레싱 부위에서 백시니아바이러스 배출량의 정량적인 비교분석. 감염과 화학요법. 2007;39(2):78-84.

우리나라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감염환자에서 발병한 악성종양. 감염과 화학요법. 2006;38(6):367-373.

국내 다기관에서 조사한 지역사회획득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의 빈도와 임상적 특성. 감염과 화학요법. 2006;38(6):325-333.

의료기관의 항생제 사용 실태와 규제 시스템 조사. 감염과 화학요법. 2006;38(6):316-324.

골수구성 백혈병 환자에게 발생한 결핵성 림프절염. 감염과 화학요법. 2006;38(5):266-270.

임산부에서 발생한 페크립토콕쿠스증을 동반한 크립토콕쿠스 수막뇌염 1예. 감염과 화학요법. 2006;38(4):229-233.

녹농균 균혈증의 임상적인 감별 특성 및 병원체로서의 중요성: 폐렴 간균, 엔테로박터균과의 비교 연구. 감염과 화학요법. 2006;38(2):61-69.

저서

저서 내용이 없습니다.

보도자료

보도자료 내용이 없습니다.

포스팅

포스팅 내용이 없습니다.

영상자료

영상자료 내용이 없습니다.

발표자료

발표자료 내용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