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암환자 생존기간 예측 '생존계산기' 개발
암 환자의 생존 기간과 치료 경과를 AI(인공지능)를 활용해 예측할 수 있는 ‘암 생존 계산기’가 미국 노스웨스턴대 의대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지금은 암 환자 질병의 단계별 진행 상황과 기존에 쌓인 데이터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정확한 암환자 생존 기간을 예측하기 어렵다.
연구팀은 암 유형별로 생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환자의 상태, 종양, 치료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를 위해 2015~2017년 유방암, 갑상선암, 췌장암 진단을 받은 환자들의 기록을 국립 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받았다. 데이터를 수집한 환자수는 유방암 환자 25만9485명, 갑상선암 환자 7만6624명, 췌장암 환자 8만4514명이었다.
연구팀은 AI가 해당 데이터를 인식해 암 진단 및 환자 생존과 관련된 패턴을 인식하도록 훈련시킨 뒤 시험을 했다. 그 결과, 3가지 암에서 다양한 요인들이 생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유방암은 ‘암 수술 여부’, ‘진단 시 환자 나이’, ‘종양 크기’, ‘진단 후 치료까지 걸린 시간’이 큰 영향을 미쳤으며, 갑상선암은 ‘진단 시 나이’, ‘종양 크기’, ‘치료 시간’, ‘림프절 침범 여부’가 영향을 미쳤다. 췌장암 환자의 경우 ‘암 수술 여부’, ‘암의 현미경 분석 결과’, ‘종양 크기’, ‘진단 시 나이’가 생존 여부를 결정했다. 이러한 요인을 기반으로 계산기가 측정한 생존율은 실제 상황과의 10개월 이내일 정도로 매우 정확했다. 연구팀은 “개발하고 있는 암 생존 계산기는 특정 종양 바이오마커와 치료 변수를 포함해 기존 계산 방식의 부족함 점을 보완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