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성 10명 중 7명 "자궁경부암 잘 알고 있다

한국여성은 자궁경부암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여성이 10명 중 7명 수준으로 꽤 많은 편이지만, 아시아 다른 국가와 비교하면 5위에 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로슈진단이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아시아 태평양 지역 8개국 여성의 여성 건강 및 자기 결정권 인식 조사 결과를 이날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인도·베트남·태국·호주·인도네시아·중국 등 8개국 여성 3320명에 대해 지난해 11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됐다. 우리나라에서는 320명의 여성이 조사에 포함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표적인 여성 질환 중 하나인 자궁경부암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 우리나라 여성 10명중 7명(69%)은 잘 알고 있거나 어느 정도 지식이 있다고 응답했다. 다만 다른 국가와 비교했을 때 8개국 중 5위를 기록해 상대적으로 자궁경부암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적절한 시기에 어렵지 않게 자궁경부암 검사를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59%가 그렇다고 답변했고 13%는 잘 모르겠다고 응답했다.
임신 및 난임 치료 인식 분야에서는 78%가 잘 알고 있거나 어느 정도 지식이 있다고 응답했다. 임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얼마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10명 중 1명(10%)만이 많은 편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8개국 중 가장 낮은 수치로 7위인 일본(32%)과도 큰 격차를 보였다.
난임 치료에 대한 자기 결정권 인식 조사에 대해서는 10명 중 9명(91%)이 치료 여부를 스스로 결정한다고 응답해 8개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의 자기 결정권을 보였다. 그러나 난임 치료 장애요인으로는 경제적 요인(24%), 적절한 의료기관에 대한 낮은 접근성(13%), 시간 부족(12%) 등을 꼽았다.
‘회사로부터 나의 임신과 같은 가족계획에 대해 지지를 받고 있다’라는 항목에 대해서는 직장 여성 응답자 중 11%만이 지지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8개국 중 가장 낮은 수치이며 평균점수 역시 10점 만점에 5점을 기록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현재의 보건의료 정책이 여성의 건강권을 지원한다고 느낀 응답자도 33%에 머물며 8개국 중 7위를 기록했다.
이번 조사에서 우리나라 여성은 여성질환 검사 및 치료, 결혼이나 지역 아동, 학업과 같은 사회적 사안에 대해 비교적 높은 자기 결정권을 보였다. 다만 다른 국가 대비 여성질환에 대한 인식 수준과 자국 보건의료 체계의 여성 건강권 지원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킷 탕 한국로슈진단 대표이사는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아시아태평양 지역 8개국 여성을 대상으로 진행한 이번 조사를 통해 더 많은 여성들이 여성 건강권의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