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199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석사 (1996)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원 박사 (2002)
경력
1996년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전공의 수료 및 신경과 전문의 취득 2000년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신경근육분야 전임의 수료 2004년 미국 University of Alabama at Birmingham 방문교수 2005년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조교수 2008년 미국 Wake Forest Institute of Regenerative Medicine, Wake Forest University 방문연구자 2008년 일본 National Center of Neurology and Psychiatry 방문연구자 2009년 임상신경생리(신경근전도 및 유발전위) 전문의 취득 2009년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부교수 현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교수
논문
Kim SM, Go MJ, Sung JJ, Park KS (corresponding author), Lee KW. Painful tonic spasm in neuromyelitis optica: incidence, diagnostic utilit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Arch Neurol. 2012;69:1026-1031. : 긴장연축(tonic spasm)이 시신경척수염에서 흔한 증상이며, 척수염에서 동반된 경우 시신경척수염의 가능성이 높음을 체계적으로 밝힌 최초의 연구이다.
Kim SM, Waters P, Vincent A, Go MJ, Park KS (corresponding author), Sung JJ, Lee KW. Cerebrospinal fluid/serum gradient of IgG is associated with disability at acute attacks of neuromyelitis optica. J Neurol. 2011;258:2176-2180. : 혈액뇌장벽의 손상에 의해 혈액 내 면역글로블린G가 중추신경계로 침입하는 것이 시신경척수염의 급성발생을 유발하며 또한 신경장애의 정도와도 관련된다.
Kim SM, Yang H, Park SB, Han SG, Park KW, Yoon SH, Hyun SJ, Kim HJ, Park KS (corresponding author), Lee KW. Pattern-specific changes and discordant prognostic values of individual leg-muscle motor evoked potentials during spinal surgery. Clin Neurophysiol. 2012;123:1465-1470. : 척추수술의 수술중신경감시검사에서 운동유발검사를 할 때 수술후 운동마비에 대한 민감도와 양성예측도가 다리 근육별로 다르므로, 운동유발검사를 모니터링 할 때 이러한 특성이 서로 다른 근육들을 조합하여 검사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