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졸업 1999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 전공 석사 200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 전공 박사
경력
1997-2001 서울대학교병원 병리과 전공의 2001-2002 국립암센터 병리과 전임의 2002-2003 국립암센터 병리과 전임강사 2007-2008 Dana-Farber Cancer Institute 방문과학자 2003-현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병리과 교수 2005-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교수
논문
생태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유방암의 유전적 이질성을 분석한 첫 연구 Park SY, Gonen M, Kim HJ, Michor F, Polyak K. Cellular and genetic diversity in the progression of in situ human breast carcinomas to an invasive phenotype. J Clin Invest 2010;120:636-44
유방암에서 분자아형에 따른 줄기세포 표지자 발현의 이질성을 침윤성 유방암뿐만 아니라 관내 상피암종에서 분석한 최초의 논문 Park SY, Lee HE, Li H, Shipitsin M, Gelman R, Polyak K. Heterogeneity for stem cell-related markers according to tumor subtype and histologic stage in breast cancer. Clin Cancer Res 2010; 16:876-87
유방암에서 항암치료 후 종양 세포 중 줄기세포 비율의 증가가 나쁜 예후 인자임을 확인한 최초의 논문 Lee HE, Kim JH, Kim YJ, Choi SY, Kim SW, Kang E, Chung IY, Kim IA, Kim EJ, Choi Y, Ryu HS, Park SY. An increase in cancer stem cell population after primary systemic therapy is a poor prognostic factor in breast cancer. Br J Cancer 2011;104:17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