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응급실에 내원한 안면 깊은 열상환자에서 무마취 피하봉합 후 피부본드 사용의 효과 (The study of non-analgesic subcutaneous suture and skin bond in patient with deep facial laceration.) 대한응급의학회지 2012년
2. 응급센터를 통해 중환자실로 입원한 환자에서 초기 APACHE II 점수와 MEDS 점수의 예후 예측 비교 (Comparing the Usefulness of the Initial Acute Physiologic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APACHE) II Scor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D) and the Mortality in Emergency Department Sepsis (MEDS) Score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Septic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ICU) via the ED) 대한 중환자의학회지 2008년
3. 급성호흡곤란 환자의 감별진단에서 응급의학과 전공의에 의해 시행된 조직도플러 심초음파의 유용성 (Differential Diagnosis of Acute Dyspnea: The Usefulness of Tissue Doppler Echocardiography in Emergency Department by Emergnecy Physician) 대한응급의학회지 2008년
4. 급성 복통 환자의 감별 진단을 위한 응급 복부 초음파: COUCH (Emergency Abdominal Ultrasonography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Acute Abdominal Pain: COUCH (Complaint-oriented Ultrasonography with CHeck list) approach) 대한응급의학회지 2008년
5. 수근관절과 족근관절 손상 진단을 위한 응급초음파의 유용성 (The Utility of Emergency Ultrasound for Diagnosing Wrist and Ankle Injuries) 대한외상학회지 2007년
6. 응급센터 중환자에서 측정한 초기 측정되지 않은 음이온:중환자의 이환율 예측에 도움이 되는가? (Initial Unmeasured Anions on Emergency Department in Critically ill Patients: Can they Predict the Morbidity?) 대한응급의학회지 200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