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맥주 한잔 마셔도 수명 2.5개월 단축... 술 한잔도 암 위험

애주가들 입장에선 찜찜한 해외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적당하게 마시면 술도 건강에 좋다는 말을 믿고 싶겠지만 연구 결과는 그 반대다. 가벼운 음주, 심지어는 한 잔의 술도 암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스페인 마드리드 자치 대학교 연구진이 60세 이상 영국인 13만5000명을 12년 간 추적 관찰한 연구 결과를 ‘미국의사협회저널(JAMA) 네트워크 오픈’에 12일(현지시각) 게재했다.
뉴욕타임스 등 해외 언론에 따르면 논문의 제1저자인 로사리오 오르톨라 마드리드 자치 대학 예방의학·공중보건 교수는 “적은 양의 음주가 (모든 원인으로 인한) 전체 사망률과 긍정적인 관련이 있다는 아무런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말했다. “술은 첫 한 방울부터 암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경고도 했다.
연구진은 하루 음주량에 따라 조사 대상자들을 최저위험군(1일 알코올 소비량 2.86g 이하), 저위험군(남성 2.86g~20g, 여성 2.86g~10g), 중간위험군(남성 20g~40g, 여성 10g~20g), 고위험군(남성 40g 이상, 여성 20g 이상)의 4개 그룹으로 나눴다. 가끔 술을 마시는 최저위험군의 1일 알코올 소비량은 16도짜리 희석식 소주 0.4잔(1잔 용량 50mL)에 해당한다. 고위험군 여성의 일 알코올 소비량 20g은 소주 3.12잔, 고위험군 남성 일 알코올 소비량 40g은 소주 6.25잔에 해당한다. 알코올 양은 ‘술의 양(mL)×알코올 도수(%)×0.8(알코올 비중)’로 구할 수 있다.
고위험 음주자로 분류된 사람들은 최저위험군과 비교해 연구기간 동안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33% 높았다. 중간위험군은 최저위험군 대비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10%, 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15% 더 높았다. 저위험군 조차도 최저위험군에 비해 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11% 더 높았다.
이번 연구는 매일 맥주 한 잔(355mL)만 마셔도 수명이 약 2개월 반 단축될 수 있다는 다른 연구결과와 같은 결론을 냈다.
다만 이번 연구에서는 식사 때 반주로 와인을 주로 마시면 사망 위험, 특히 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에 따르면 “명확하지는 않지만 음식과 함께 섭취함으로써 알코올 흡수 속도가 느려져 그로 인한 손상이 줄거나 식사 시간에 술을 마셔 음주 간격을 더 잘 조절했기 때문일 수도 있고, 정크 푸드를 멀리하는 것 같은 다른 건강한 생활 방식이 반영되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무엇보다 사람들이 마시는 술의 양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알코올을 대표적인 발암 물질로 분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