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암 치료 이후 탈모를 막는 데 냉각모자(쿨링캡)가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를 국내 연구진이 발표했다.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안진석·암교육센터 조주희·임상역학연구센터 강단비 교수 연구팀은 냉각모자가 항암치료로 인한 탈모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를 임상종양학회지 최근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암환자의 머리가 빠지는 건 항암제의 특정 성분이 모낭세포나 피부세포를 파괴하는 탓이다. 유방암, 부인암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약제인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도세탁셀 ▷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파클리탁셀 등이 탈모를 잘 일으키는 항암제로 알려져 있다.
항암 치료 종료 후 6개월 정도가 지나면 탈모가 회복한다고 교육이 이뤄지고 있으나, 실제 같은 연구팀이 전향적으로 진행했던 기존 연구에 따르면 유방암 환자의 42.3%가 항암치료 후 3년이 지나도 항암치료 이전의 모발의 상태로 돌아오지 못한 것을 보고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모발은 어느 정도 회복이 되는 반면, 모발 굵기는 항암치료가 종료된 지 3년이 지났어도 항암치료 이전 대비 절반 정도라고 밝혔다.
연구팀이 냉각모자에 주목한 것도 이 부분이다. 선행 연구에서 냉각모자를 쓰면 혈관이 수축돼 두피로 가는 혈액순환이 느려지고, 모낭세포를 망가뜨리는 항암제의 영향도 감소시켜 탈모를 예방하는 효과를 입증한 바 있다.
연구팀은 모발이 다시 날 때 냉각모자를 쓰지 않은 사람보다 더 건강한 모발이 자라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운 후, 지난 2020년 12월 23일부터 2021년 8월 27일 사이 유방암 1~3기로 진단받고 치료받은 139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환자를 냉각모자군 89명과 대조군 50명으로 나누고, 나머지 임상적 조건을 동일하게 유지해 냉각모자 착용 유무에 따른 지속 탈모 및 모발의 양과 굵기, 스트레스를 비교했다.
연구 결과, 대조군은 52%가 지속탈모를 경험한 반면, 냉각모자군은 13.5%에서만 나타났다. 모발 두께는 치료 시작 전보다 치료 후 6개월 지난 시점대조군에서 7.5μm감소한 반면, 냉각모자군은 오히려 1.5μm증가했다. 연구 시작 당시에는 두 집단간 모발 두께 차이는 없었지만, 치료 후에는 9.1μm차이를 보였다.
항암치료 종료 6개월 뒤 가발 착용도 냉각모자군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탈모를 가리기 위해 가발을 착용하는 환자의 비율의 경우 대조군은 32%인 반면, 냉각모자군은 절반 수준인 17%에 불과했다. 환자들이 보고한 항암치료로 인한 탈모 스트레스도 6개월 시점에 냉각모자군이 유의미하게 더 낮았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연구 공동 1저자인 조주희 교수는 “암환자 대부분이 치료로 인한 외모 변화에 큰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답하며, 절반 이상의 환자들이 외모 변화 탓에 가정과 사회에서 문제를 경험한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주관한 안진석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냉각모자를 착용하면 모낭 손상이 덜하기 때문에 항암치료 후 머리카락이 다시 날 때 빨리 나고, 굵은 모발이 날 확률이 높아진다는 점을 입증했다”며 “탈모는 환자의 삶에 다양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 부분을 포함할 수 있어야 암치료가 완성될 수 있다”고 말했다.
냉각모자는 미국 FDA, 유럽 EMA의 허가를 받고 미국과 유럽 등에서 암치료 가이드라인에 포함돼 실제 항암치료를 받는 환자들에게 보조적 암치료로 쓰이고 있다. 국내에서는 신의료기술 등록 절차가 진행 중이다.
#컬럼#항암치료 #탈모 #항암부작용 #항암모자 #삼성서울병원 #탈모예방#냉각모자#암환자#모낭세포#혈액순환#도세탁셀#독소루비신#에피루비신#파클리탁셀#쿨링캡#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유방암환자#메디우스#MD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