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물 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이용해 암세포를 죽이는 치료법을 찾아냈다. 활성산소를 생성하는 광감각제가 암세포 내부의 막 단백질을 산화시켜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인데, 실제 치료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권태혁, 민두영 화학과 교수팀이 이런 내용을 담은 연구 논문을 지난 13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온라인판에 게재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팀은 암세포의 막이 산화될 때 세포가 사멸하는 방식의 종류인 '파이롭토시스'가 발생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파이롭토시스는 면역 관련 인자들이 세포 밖으로 방출돼 강한 면역 신호를 보내 암세포의 효과적인 사멸을 유도한다. 일반적인 세포 사멸 방식인 ‘아포토시스(세포자살)’와 다른 개념이다.
연구팀은 막 단백질의 산화가 단백질 손상을 유발한다는 점을 활용했다. 세포 내 광감각제가 빛을 받으면 세포 내 막 단백질들이 활성산소에 의해 산화돼 손상된다. 이로 인해 세포 안에서 이를 치료하려는 소포체에 과부하가 걸려 결국 파이롭토시스가 발생한다고 한다.
이채헌 UNIST 연구원은 "이번 연구로 병원체와 독립적으로 세포 내 산화 스트레스가 축적될 때 파이롭토시스가 일어날 수 있는 새로운 경로가 발견됐다"며 "이 결과는 다양한 면역 관련 질환 연구와 저산소 환경의 고형암 면역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민규 석박사 통합과정생은 "면역 치료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새로운 암 치료 전략이 될 수 있다"며 "암 치료가 어려운 저산소 환경에서도 효과를 발휘해 기존 약물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컬럼#암치료법 #울산과학기술원 #활성산호#물분해과정#암세포#광감각제#단백질산화#세포사멸#아포토시스#파이롭토시스#저산소 환경#고형암면역치료#단백질산화#단백질손상#소포체#면역관련질환#메디우스#MD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