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준히 자외선 쬐면 식욕 느는데 체중 증가는 억제

지속적인 자외선 노출이 식욕과 체중에 영향을 미친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유는 뭘까? 정진호·이동훈 서울대병원 피부과 교수 연구팀은 자외선을 지속적으로 쬐면 우리 몸의 신경전달물질인 노르에피네프린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식욕 증가, 체중 감소 등 에너지 대사가 활발해진다는 연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자외선은 에너지를 합성하고 분해하는 신체 대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자외선이 전신 에너지 대사를 조절하는 매커니즘은 이번에 처음 밝혀졌다.
연구팀은 생쥐를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은 고지방음식을 먹이고, 한 그룹은 일반적인 음식을 먹인 뒤 12주 동안 매주 3회씩 자외선에 지속적으로 노출시켰다. 그 결과, 자외선 노출군은 피하지방에서 분비되는 렙틴(식욕억제 호르몬)의 발현이 감소해 대조군보다 음식 섭취량이 증가했지만 체중은 증가하지 않았다. 고지방음식을 먹은 쥐는 오히려 체중 증가가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팀은 자외선 노출군에서 백색지방의 ‘갈색화’가 일어나 음식 섭취량보다 에너지 소모량이 더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갈색화는 백색지방 세포가 갈색지방으로 전환(이형 분화)되는 현상이다. 갈색화가 진행되면 음식 섭취로 얻은 에너지가 피하지방에 쌓이기 전 모두 열로 연소될 수 있어 체중 증가가 억제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자외선 노출 시 식욕 증가와 에너지 소모를 촉진하는 매개물질은 노르에피네프린 호르몬으로 확인됐다. 노르에피네프린은 위험하거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분비돼 교감신경계에 작용하는 호르몬이다. 자외선 노출군의 피부에서는 노르에피네프린 수치가 유의미하게 증가해 있었으며, 이 물질 합성을 차단한 생쥐는 그렇지 않은 생쥐보다 음식 섭취량이 줄어들고 체중이 증가했다.
정진호 교수는 “자외선의 대사조절 효과를 모방하여 비만 및 대사장애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피부과학 분야 권위지 ‘피부연구학회지(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