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알코올성 지방간 2030세대, 갑상선암 위험 높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심한 젊은층은 갑상선암 발병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성균관대 의대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이원영·이은정·권혜미 교수 연구팀이 건강보험 공단 자료를 이용해 4회 연속 건강검진을 받은 20~39세 사이의 젊은 성인 310만명을 대상으로 지방간 지수에 따른 갑상선암 발생 위험을 분석한 결과다.
학술지인 ‘임상 내분비학 및 대사 저널’ 최신호에 게재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구팀은 연구 대상을 지방간 지수에 따라 △30 미만(정상) △ 30∼60 △ 60 이상으로 나눠 갑상선암 발병 위험을 비교했다. 그 결과, 지방간 지수 30 미만의 정상 그룹과 비교해 갑상선암 발병 위험이 지방간 지수 30∼60인 남성은 1.36배, 여성은 1.44배였다. 지방간 지수가 60 이상인 경우 남성은 1.71배, 여성이 1.81배로 갑상선암 발병 위험이 증가했다.
추적 관찰 기간 지방간 지수가 증가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심해진 경우 갑상선암 발생 위험 역시 증가했다. 연구팀이 지방간 지수를 4회 연속 측정해 지방간 지수가 30 이상인 경우 측정마다 1점을 부여해 보니 누적 점수가 높을수록 누적 점수가 0인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한 번도 없었던 사람들에 비해 갑상선암 발병 위험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알코올 소비가 적거나 전혀 없는 사람에게서 발생한 지방간인데,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지방이 축적된 상태가 지속하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심한 경우 간경변으로 이어질 수 있다.
권혜미 교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는 경우 인슐린 저항성, 만성적인 염증 상태, 갑상선 자극 호르몬의 상승 등으로 인해 갑상선암 발생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추측한다”며 “비알코올성 지방간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식사와 운동, 적절한 체중 유지 등 생활 습관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컬럼#비알코올성지방간 #지방간 #갑상선암#지방간지수#갑상선암발병위험#비만#당뇨병#고지혈증#간경변#인슐린저항성#만성염증상태#갑상선자극호르몬#메디우스#MD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