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 냄새와 치주질환의 원인으로 꼽히는 입 안의 박테리아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이 대장암 성장을 촉진한다는 해외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입 안의 박테리아가 대장 종양에서 발견됐다는 것이다.
미국 프레드 허친슨 암센터 연구팀이 대장암 환자 51명과 암환자가 아닌 80명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최근 ‘네이처(Nature)’에 게재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장암 환자에게서 65개의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균주가 발견됐다.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의 아형인 ‘Fna C2’로, 대장암 종양의 50%, 대장암 환자 대변 샘플 30%에서 발견됐다.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은 입 안에서 흔히 발견되지만 위장관에서 발견되는 것은 비정상적이다.
‘Fna C2’는 대장암이 퍼질 때 암세포에 달라붙어 암 성장을 촉진하며, ‘Fna C2’가 있는 대장암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환자들보다 생존율이 낮고 예후가 불량하다.
연구팀은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이 식도와 위장관을 따라 대장까지 이동할 때 위산을 견딜 수 있는 특징이 있어 파괴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대장 종양에서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을 제거하기 위한 항암치료 임상을 계획 중이다.
푸스박테리움 뉴클레아툼의 아형이 암 세포에 쉽게 접근 가능한 점을 활용해 박테리아를 유전적으로 변형한 뒤 항암 약물을 종양으로 직접 운반하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