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경험자, 폐암 발병 위험 비경험자의 3.6배
결핵 경험자는 폐암, 혈액암, 부인암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양대 의대,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공동 연구팀이 2010~2017년 한국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국가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DB)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인데, 이 연구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4월27~30일 열리는 '유럽 임상 미생물학·감염병학회'(ECCMID 2024)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연구팀은 결핵 환자 7만2542명(평균 연령 62세)과 결핵과 무관한 사람 7만2542명(대조군)을 평균 67개월 동안 추적 관찰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결핵을 현재 앓고 있거나 과거 앓은 적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암에 걸릴 위험이 0.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 중에서도 폐암(2.6배), 혈액암(1.4배), 부인암(1.2배)의 발병 위험이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암(0.57배), 갑상샘암(0.56배), 식도암 및 위암(0.55배) 위험도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결핵은 약물 치료로 완치가 가능하지만 구조적 손상, 혈관 손상, 대사 이상, 숙주 염증 반응 등으로 각종 부위에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합병증 중 암 발병 위험 증가도 포함된다. 숙주 조직 및 DNA 손상, 혈액 속 정상 유전자 복구 과정 및 성장 인자의 중단이 주 원인이다.
또 현재의 흡연, 과음, 만성 간질환, 만성폐쇄성폐질환 등도 결핵 환자의 암 발생에 독립적인 위험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암에 걸릴 위험이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약 40%, 과음자는 일반 음주자보다 약 15%, 만성 간질환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약 42%,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는 일반인보다 8% 더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