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와 오염된 대기 속의 납이 전립선암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몸에 쌓인 납의 농도가 2배 높아질 때마다 전립선암 발병률도 2배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제학술지 ‘국제위생환경 건강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hygiene and environmental health)’ 3월호에 게재된 남연주·박수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과학과 연구진의 연구 결과다.
연구팀은 2002~2017년 국립암센터에서 전립선암 진단을 받은 환자 46명과 전립선암 진단을 받지 않은 병원 진료객 93명의 혈중 납 수치, 비만, 흡연 여부, 나이 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전립선암 환자 그룹의 혈중 납 수치는 3.1μg/dL로, 비환자 그룹(2.38μg/dL)보다 높았다. 전립선암이 발병할 위험 역시 혈중 납 수치가 2배 높아질 때마다 2.04배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혈중 납 수치는 특정 조건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립선암 환자 중 술을 한 잔이라도 마시는 환자 그룹은 혈중 납 수치가 3.11μg/dL로 높게 나타났고, 자신의 직업을 ‘판매원’이라고 답한 전립선암 환자도 평균치 이상인 3.12μg/dL로 나타났다. 납은 식품, 흡연, 미세먼지 등을 통해 체내에 유입된다. 연구팀은 “혈중 납 수치는 한국인의 전립선암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며 “(노동자들이) 납에 노출되는 것을 모니터링하고 노출 수준을 줄이려는 조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립선은 남성의 생식기관 중 하나로 정자에 영양을 공급하고, 정액의 일부를 생산하는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전립선에 악성 종양이 생기는 전립선암의 원인으로는 나이, 가족력, 비만 등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