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을 유발하는 장내 세균의 독소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국내 연구진이 확보했다. 대장암 진행을 막는 치료 가능성이 열린 것이다.
6일 신약개발 기업 인트론바이오에 따르면, 대장암을 유발하는 '대장균(pks+ E.coli)'이 생성, 분비하는 유전독소 ‘콜라이박틴(colibactin)’을 무력화시켜 암 진행을 막는 물질을 확보했다.
콜라이박틴은 세포의 DNA를 손상시켜 암 유발 돌연변이를 촉진시키고 대장암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트론바이오 연구팀은 콜라이박틴의 사이클로프로판 고리(cyclopropane ring) 구조를 가수분해해 콜라이박틴을 무력화시키는 물질을 개발했다. 특정 장내세균의 유전 정보를 활용해 재조합 단백질로 제조한 후 콜라이박틴 제어력 평가 모델을 통해 유효성을 확인했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인트론바이오는 콜라이박틴 제어물질을 로봇 박테리오파지에 탑재하면 대장암을 예방하거나 재발을 막는 데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회사는 이를 계기로 대장암 유발 유해세균 ETBF 대응 로봇 박테리오파지와 함께 대장암 관련 신약 후보물질로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윤경원 인트론바이오 대표는 "항암 제제로 활용될 수 있는 물질을 추가로 확보하고 로봇 박테리오파지 개량 플랫폼 기술과 접목시켜 파지리아 후보 물질을 확정 지을 수 있는 단계로 진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컬럼#마이크로바이옴 #장내세균 #대장암 #인트론바이오 #콜라이박틴#암유발돌연변이#대장암유발유해세균#ETBF#대응로봇 박테리오파지#신약후보물질#메디우스#MD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