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의료 방사선 피폭량, 세계 평균의 5배
한국인의 의료 방사선 검사(엑스레이, CT 등) 건수는 세계 평균의 11배, 의료 방사선 검사로 인한 피폭선량은 세계 평균의 5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최근 3년간(2020~2022년)의 의료방사선 이용 현황 자료를 19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우리 나라 국민의 연간 의료방사선 검사 건수는 2020년 3억800만여건에서 2022년 3억5200만여건으로 14.6% 증가했다. 국민 1인당 2020년 5.9건에서 2022년 6.8건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른 피폭선량도 증가했다.
총 피폭선량은 2022년 12만7524man·Sv(맨·시버트)에서 2022년 14만1831man·Sv로 11.2% 증가했다. 맨 시버트(man·Sv)는 다수가 피폭되는 경우 그 집단의 개인 피폭방사선량의 총합을 뜻하는 단위다. 1인당 피폭선량은 2.46mSV(밀리시버트)에서 2.75mSV로 늘었다. mSV는 피폭선량(유효선량)을 평가하는 방사선량의 단위를 의미한다.
2022년 1인당 의료방사선 검사 건수 6.8건은 세계 평균(2009~2018년) 0.6건의 11배에 해당하며, 피폭선량 2.46밀리시버트는 세계 평균 0.57밀리시버트의 약 5배에 해당하는 수치다.
질병청은 "피폭선량은 국가별 보건의료 수준 등이 차이가 있어 직접 비교에는 한계가 있다"면서도 "외국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검사 종류는 일반촬영이 2억8200만건(1인당 5.5건)으로 전체 검사 건수의 80.2%를 차지했다. 치과 촬영(12.1%), 컴퓨터단층(CT) 촬영(3.8%), 유방촬영(2.1%)이 뒤를 이었다. 이 중 CT 촬영의 경우 검사 건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적었지만 검사 건당 피폭선량이 9만3022 man·Sv로 전체 피폭선량의 65.6%를 차지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국민의 불필요한 의료방사선 피폭을 감소시키기 위해 의사가 영상의학 검사를 결정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의료영상진단 정당성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