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암을 MRI 검사 없이도 높은 정확도로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이상철 교수팀이 개발했다. 전립선건강지수(PHI)를 활용한 것으로, 불필요한 MRI 검사를 하지 않음으로써 신체적,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전립선암은 전이가 없을 경우 거의 100%에 가까운 생존율을 보이는 암이다. 현재는 전립선 특이항원(PSA) 수치를 기준으로 조기진단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PSA 수치가 4ng/mL 이상일 때 조직검사를 시행한다.
하지만 PSA 수치가 4~10ng/mL인 경우(회색지대로 부른다) 조직검사의 양성 진단율이 22%에 불과해 다른 조직검사를 추가로 진행한다. 조직검사는 출혈, 통증, 감염과 같은 합병증 위험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MRI 검사가 사전에 진행된다. 다만 MRI는 높은 검사비가 환자에게 부담이다.
이상철 교수팀은 2019년 4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PHI 검사와 MRI를 모두 받은 전립선암 회색지대 환자 44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PHI와 PSA 밀도(PSAD)의 최적 값은 각각 39.6, 0.12ng/mL²로 나타났으며, 이들 바이오마커를 활용함으로써 불필요한 MRI 검사를 28.7%~31.8%까지 줄일 수 있었다. 특히, PHI와 PSAD를 함께 활용할 경우, MRI 사용을 20.1% 줄이면서도 전립선암 진단 누락률을 6.2%로 유지할 수 있었다.
이상철 교수는 “이번 연구는 'PSA 회색지대' 환자에서 불필요한 MRI 검사를 줄이기 위한 PHI 활용에 관한 첫 연구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세계적인 비뇨의학 학술지인 ‘비뇨세계학술지’에 게재됐다.
#컬럼#전립선암 #이상철교수 #전립선건강지수 #PHI #PSA #전립선특이항원 #전립선MRI#조기진단#조직검사#양성진단율#회색지대#메디우스#MD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