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증성 장질환, 우울증 등 정신건강 치료 하면 염증 완화

소화기 건강과 정신 건강의 관련성을 보여주는 해외 연구 결과가 나왔다. 크론병 등 염증성 장질환(IBD) 환자가 불안, 우울증 등 심리적 문제를 치료하면 염증성 장 질환도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염증성 장질환은 면역체계 이상으로 인해 면역세포가 대장(궤양성 대장염) 또는 소장(크론병)을 공격, 장 점막에 다발성 궤양과 출혈, 설사, 복통을 일으키는 만성 난치성 장질환이다.
영국 킹스칼리지 런던 연구팀은 의료DB 5개에서 관련 연구 결과를 검색한 뒤 임상시험 28건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란셋(The Lancet) 자매지 ‘바이오메디슨’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1789명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 28건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생체표지자(바이오마커) 데이터도 분석에 포함시켰다. 연구팀은 IBD 염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두 가지 생체표지자인 칼프로텍틴, C반응성단백질(CRP)의 수치를 측정해 분석했다.
그 결과, 염증성 장질환 환자에 대한 불안, 우울증을 치료하면 염증성 장 질환의 중증도를 유의한 수준으로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우울제와 운동도 증상 개선 효과를 내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에 참여한 나타샤 시튼 연구원은 “우울증과 불안은 IBD 환자에게 흔한 증상이다. 이들 환자의 32%는 불안을, 25%는 우울증을 경험한다”고 말했다. 이 비율은 염증성 장질환이 심하고 염증 수치가 높을 때 각각 39%와 58%로 높아진다. 시튼 연구원은 “특정 기간에 IBD 환자의 스냅샷을 찍어보면 일부 염증 표지자(마커)가 불안이나 우울증 증상과 관련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덧붙였다.
정신 건강이 개선되면 면역체계가 강화된다. 아울러 환자가 운동을 더 많이 하고, 식단을 개선하고, 숙면을 취하는 등 신체 건강을 더 잘 관리하고 처방된 약을 제대로 복용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기분 변화, 우울증, 불안증이 있는 사람이 모두 염증성 장질환에 걸리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염증성 장질환을 앓는 사람이 모두 우울증이나 불안을 겪는 것도 아니다.
염증성 장질환 분자예측센터 틴 제스 박사는 “정신 건강과 장 염증 사이에는 미주신경 신호, 전신 염증 표지자, 장내 미생물 군집 등 기계적인 연관성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