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론병 등 염증성 장질환, 척추골절 위험 높인다

궤양성대장암, 크론병 등 염증성 장 질환이 척추 골절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난치성인데다 환자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스테로이드를 장기간 사용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염증성 장 질환은 고지방·고열량 식사 등으로 인해 환자가 계속 늘고 있다. 최근 10년 새 환자가 약 2배로 7만 명이나 되며, 특히 20~30대 환자가 전체의 50%를 차지한다.
복통·설사·혈변을 일으키고 철, 아연, 칼슘, 비타민 D 등의 흡수 장애를 유발한다. 치료제로 쓰이는 스테로이드, 면역 조절제는 뼈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가톨릭대 은평성모병원 정성훈(소화기내과)·이준석(정형외과) 교수 연구팀은 2008~2018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염증성 장 질환자 3만3778명과 일반인 10만1265명을 대상으로 척추 골절 발생 및 중증도 위험 요인에 관한 대규모 비교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이 연구 대상자의 나이와 성별, 동반 질환, 척추 골절 진단 후 수술 여부, 약물 치료 현황 등 다양한 변수를 종합해 분석한 결과, 염증성 장 질환 환자의 척추 골절 위험이 일반인보다 높았다.
특히 염증성 장질환 가운데 크론병 환자에게서 척추 골절이 더 자주, 더 심하게 발생했다. 일반인의 척추 골절 위험을 1로 했을 때 크론병 환자는 1.59, 궤양성 대장염 환자는 1.27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중증 이상의 척추 골절에 노출될 위험 역시 크론병 환자가 1.82, 염증성 장 질환 환자는 1.49로 높았다.
척추 골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크론병, 고령, 여성, 높은 동반 질환 지수, 장기간의 스테로이드 사용이 확인됐다. 스테로이드의 경우 사용 지속 기간에 따라 척추 골절 발생에 큰 차이를 보였다.
이준석 교수는 “환자들의 사회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척추 골절은 노화와 폐경에 따른 골다공증으로 발생할 수도 있지만 만성질환이나 약물 치료로 인한 2차성 골다공증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며 “염증성 장 질환에서 질환의 만성화나 특정 약물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척추 골절 현황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는 큰 의미가 있다”고 했다.
이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 최근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