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위암 환자 수술, 체중ㆍ합병증ㆍ암 병기ㆍ절제 범위가 중요 고려요소
75세 고령 위암 환자에 대한 수술은 체중, 수술 후 합병증, 암 병기, 절제 범위 등 4가지 요소를 고려한 뒤 결정해야 하는 이유가 국내 연구진의 연구에서 밝혀졌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2020년 기준)에 따르면 국내 위암 환자 4명 중 1명이 75세 이상이며, 고령의 진행성 위암 환자는 치료에 대한 부담감이나 수술 후 합병증 걱정으로 수술을 고민하는 경우가 많다.
서울아산병원 위장관외과 공충식·고창석, 강릉아산병원 외과 정성아 교수팀이 2~3기 위암으로 수술받은 75세 이상 환자 237명을 약 71개월간 추적 관찰하며 치료 결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체중, 합병증, 병기, 위 절제범위가 장기 생존율에 영향을 미쳤다.
그동안 고령 진행성 위암 환자의 수술 후 장기 생존율을 분석한 연구는 드물었기 때문에 이번 연구는 고령의 진행성 위암 환자 수술 여부를 결정할 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에 따르면 환자 237명 모두 수술로 인한 사망은 없었다. 3개월 후 생존율도 99.2% 수준으로 수술로 인한 단기적인 위험은 없었다. 2기 이상의 진행성 위암으로 수술받은 고령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은 51.4%였다. 일반적으로 위암 2기의 5년 생존율은 70%, 3기의 5년 생존율은 40%대다.
위험 요인별 위험비를 분석한 결과, 저체중인 경우 사망 위험이 정상 혹은 과체중 환자의 1.45배였다. 합병증이 있는 경우 사망 위험이 합병증 없는 환자의 2.07배였다. 위암 3기의 사망 위험은 2기의 2.61배, 위 전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사망 위험은 부분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1.57배인 것으로 확인됐다.
고창석 교수는 "진행성 위암으로 진단받았다면 환자의 위 절제 범위, 병기, 건강 상태 등을 포괄적으로 판단해 수술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며 ”수술 땐 영양 상태를 개선하고 수술 후 합병증을 최소화하는데 집중하면 안전하게 치료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노화임상실험연구(IF=4.0)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