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kao   telegram
  이보람 기자
  캔서앤서

면역항암제 치료 안 듣는 이유, 이 유전자 방해 때문

이보람 기자
캔서앤서
하루 술 1잔, 여성 관상동맥심장병 위험 33~51% 증가

암 세포는 지능적이다. 항암제의 공격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피한다. 우리 몸의 면역세포의 힘을 키워 암세포와 싸우게 하는 면역항암제 치료를 무력화시킬 수도 있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이 암세포가 면역세포의 공격에서 살아남는 이유 중의 하나를 밝혀냈다. T세포, NK세포 등 우리 몸의 면역세포는 면역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경우 암 세포를 식별한 뒤 암 세포에 달라 붙여 공격을 진행한다.

그런데 암세포는 PD-1, PDL-1과 같은 단백질을 발현시켜 면역세포의 식별 또는 공격을 방해한다. 이를 ‘면역관문’이라고 하는데, 암치료에 쓰이는 면역항암제는 이 같은 면역관문이 작동하지 못하도록 만든다.

안타깝게도 면역항암제가 모든 환자에게 잘 듣지는 않는데,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이 그 이유를 밝혀낸 것이다. 연구팀은 크리스토퍼 유전자 가위(CRISPR) 기술을 활용해 쥐와 인간 폐암세포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ATXN3 유전자가 암세포의 PDL-1 단백질을 발현시켜 면역 회피를 촉진했다. ATXN3 유전자는 특히 비소세포폐암의 가장 흔한 유형인 선암과 흑색종 세포에서 PDL-1 단백질을 발현시켰다. 연구팀이 폐암 마우스 모델에서 ATXN3 유전자를 제거하자 면역 치료 효과가 높아졌다.


연구를 주도한 데유 팡 박사는 “ATXN3을 표적으로 삼는다면 면역 치료 효과가 높아지고 환자의 부작용을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임상 연구 저널(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에 최근 게재됐다.
...
#컬럼#음주의위험 #음주와심장질환#관상동맥심장병#일주일음주량#폭음#음주#심장병발병#과음#관상동맥#심장질환#죽상경화#혈전증#메디우스#MDUS

홍헌표 기자
캔서앤서
전립선암 검진 받을까? 말까?

암 세포는 지능적이다. 항암제의 공격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피한다. 우리 몸의 면역세포의 힘을 키워 암세포와 싸우게 하는 면역항암제 치료를 무력화시킬 수도 있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이 암세포가 면역세포의 공격에서 살아남는 이유 중의 하나를 밝혀냈다. T세포, NK세포 등 우리 몸의 면역세포는 면역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경우 암 세포를 식별한 뒤 암 세포에 달라 붙여 공격을 진행한다.

그런데 암세포는 PD-1, PDL-1과 같은 단백질을 발현시켜 면역세포의 식별 또는 공격을 방해한다. 이를 ‘면역관문’이라고 하는데, 암치료에 쓰이는 면역항암제는 이 같은 면역관문이 작동하지 못하도록 만든다.

안타깝게도 면역항암제가 모든 환자에게 잘 듣지는 않는데,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이 그 이유를 밝혀낸 것이다. 연구팀은 크리스토퍼 유전자 가위(CRISPR) 기술을 활용해 쥐와 인간 폐암세포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ATXN3 유전자가 암세포의 PDL-1 단백질을 발현시켜 면역 회피를 촉진했다. ATXN3 유전자는 특히 비소세포폐암의 가장 흔한 유형인 선암과 흑색종 세포에서 PDL-1 단백질을 발현시켰다. 연구팀이 폐암 마우스 모델에서 ATXN3 유전자를 제거하자 면역 치료 효과가 높아졌다.


연구를 주도한 데유 팡 박사는 “ATXN3을 표적으로 삼는다면 면역 치료 효과가 높아지고 환자의 부작용을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임상 연구 저널(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에 최근 게재됐다.
...
#컬럼#전립선암 #전립선염 #삼성서울병원 #전립선암검진의사결정도구#위험예측#의사결정#메디우스#MDUS

홍헌표 기자
캔서앤서
혈액으로 8가지 암 진단... AI 초정밀 유전자 검사 '캔서파인드

암 세포는 지능적이다. 항암제의 공격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피한다. 우리 몸의 면역세포의 힘을 키워 암세포와 싸우게 하는 면역항암제 치료를 무력화시킬 수도 있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이 암세포가 면역세포의 공격에서 살아남는 이유 중의 하나를 밝혀냈다. T세포, NK세포 등 우리 몸의 면역세포는 면역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경우 암 세포를 식별한 뒤 암 세포에 달라 붙여 공격을 진행한다.

그런데 암세포는 PD-1, PDL-1과 같은 단백질을 발현시켜 면역세포의 식별 또는 공격을 방해한다. 이를 ‘면역관문’이라고 하는데, 암치료에 쓰이는 면역항암제는 이 같은 면역관문이 작동하지 못하도록 만든다.

안타깝게도 면역항암제가 모든 환자에게 잘 듣지는 않는데,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이 그 이유를 밝혀낸 것이다. 연구팀은 크리스토퍼 유전자 가위(CRISPR) 기술을 활용해 쥐와 인간 폐암세포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ATXN3 유전자가 암세포의 PDL-1 단백질을 발현시켜 면역 회피를 촉진했다. ATXN3 유전자는 특히 비소세포폐암의 가장 흔한 유형인 선암과 흑색종 세포에서 PDL-1 단백질을 발현시켰다. 연구팀이 폐암 마우스 모델에서 ATXN3 유전자를 제거하자 면역 치료 효과가 높아졌다.


연구를 주도한 데유 팡 박사는 “ATXN3을 표적으로 삼는다면 면역 치료 효과가 높아지고 환자의 부작용을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임상 연구 저널(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에 최근 게재됐다.
...
#컬럼#혈액검사 #암검진 #혈액으로암검진#캔서파인드 #아이엠비디엑스#AI 초정밀유전자검사#메디우스#MDUS

홍헌표 기자
캔서앤서
간암, 혈액 검사로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진단

암 세포는 지능적이다. 항암제의 공격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피한다. 우리 몸의 면역세포의 힘을 키워 암세포와 싸우게 하는 면역항암제 치료를 무력화시킬 수도 있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이 암세포가 면역세포의 공격에서 살아남는 이유 중의 하나를 밝혀냈다. T세포, NK세포 등 우리 몸의 면역세포는 면역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경우 암 세포를 식별한 뒤 암 세포에 달라 붙여 공격을 진행한다.

그런데 암세포는 PD-1, PDL-1과 같은 단백질을 발현시켜 면역세포의 식별 또는 공격을 방해한다. 이를 ‘면역관문’이라고 하는데, 암치료에 쓰이는 면역항암제는 이 같은 면역관문이 작동하지 못하도록 만든다.

안타깝게도 면역항암제가 모든 환자에게 잘 듣지는 않는데,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이 그 이유를 밝혀낸 것이다. 연구팀은 크리스토퍼 유전자 가위(CRISPR) 기술을 활용해 쥐와 인간 폐암세포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ATXN3 유전자가 암세포의 PDL-1 단백질을 발현시켜 면역 회피를 촉진했다. ATXN3 유전자는 특히 비소세포폐암의 가장 흔한 유형인 선암과 흑색종 세포에서 PDL-1 단백질을 발현시켰다. 연구팀이 폐암 마우스 모델에서 ATXN3 유전자를 제거하자 면역 치료 효과가 높아졌다.


연구를 주도한 데유 팡 박사는 “ATXN3을 표적으로 삼는다면 면역 치료 효과가 높아지고 환자의 부작용을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임상 연구 저널(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에 최근 게재됐다.
...
#컬럼#간암 #메틸화마커#바이오마커#혈액검사#간암모니터링#간경변#간염바이러스#고위험군#간질환#발병원인#DNA메틸화#메디우스#MDUS

이보람 기자
캔서앤서
50대 미만 암 환자, 지난 30년간 세계적으로 79.1% 증가

암 세포는 지능적이다. 항암제의 공격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피한다. 우리 몸의 면역세포의 힘을 키워 암세포와 싸우게 하는 면역항암제 치료를 무력화시킬 수도 있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이 암세포가 면역세포의 공격에서 살아남는 이유 중의 하나를 밝혀냈다. T세포, NK세포 등 우리 몸의 면역세포는 면역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경우 암 세포를 식별한 뒤 암 세포에 달라 붙여 공격을 진행한다.

그런데 암세포는 PD-1, PDL-1과 같은 단백질을 발현시켜 면역세포의 식별 또는 공격을 방해한다. 이를 ‘면역관문’이라고 하는데, 암치료에 쓰이는 면역항암제는 이 같은 면역관문이 작동하지 못하도록 만든다.

안타깝게도 면역항암제가 모든 환자에게 잘 듣지는 않는데,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이 그 이유를 밝혀낸 것이다. 연구팀은 크리스토퍼 유전자 가위(CRISPR) 기술을 활용해 쥐와 인간 폐암세포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ATXN3 유전자가 암세포의 PDL-1 단백질을 발현시켜 면역 회피를 촉진했다. ATXN3 유전자는 특히 비소세포폐암의 가장 흔한 유형인 선암과 흑색종 세포에서 PDL-1 단백질을 발현시켰다. 연구팀이 폐암 마우스 모델에서 ATXN3 유전자를 제거하자 면역 치료 효과가 높아졌다.


연구를 주도한 데유 팡 박사는 “ATXN3을 표적으로 삼는다면 면역 치료 효과가 높아지고 환자의 부작용을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임상 연구 저널(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에 최근 게재됐다.
...
#컬럼#50대암 #조기발병암 #유방암 #암발병률 #세계암발병추세#메디우스#MDUS

이보람 기자
캔서앤서
모더나 개발 암 백신, 흑색종 재발-사망위험 49% 낮춰

암 세포는 지능적이다. 항암제의 공격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피한다. 우리 몸의 면역세포의 힘을 키워 암세포와 싸우게 하는 면역항암제 치료를 무력화시킬 수도 있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이 암세포가 면역세포의 공격에서 살아남는 이유 중의 하나를 밝혀냈다. T세포, NK세포 등 우리 몸의 면역세포는 면역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경우 암 세포를 식별한 뒤 암 세포에 달라 붙여 공격을 진행한다.

그런데 암세포는 PD-1, PDL-1과 같은 단백질을 발현시켜 면역세포의 식별 또는 공격을 방해한다. 이를 ‘면역관문’이라고 하는데, 암치료에 쓰이는 면역항암제는 이 같은 면역관문이 작동하지 못하도록 만든다.

안타깝게도 면역항암제가 모든 환자에게 잘 듣지는 않는데,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이 그 이유를 밝혀낸 것이다. 연구팀은 크리스토퍼 유전자 가위(CRISPR) 기술을 활용해 쥐와 인간 폐암세포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ATXN3 유전자가 암세포의 PDL-1 단백질을 발현시켜 면역 회피를 촉진했다. ATXN3 유전자는 특히 비소세포폐암의 가장 흔한 유형인 선암과 흑색종 세포에서 PDL-1 단백질을 발현시켰다. 연구팀이 폐암 마우스 모델에서 ATXN3 유전자를 제거하자 면역 치료 효과가 높아졌다.


연구를 주도한 데유 팡 박사는 “ATXN3을 표적으로 삼는다면 면역 치료 효과가 높아지고 환자의 부작용을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임상 연구 저널(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에 최근 게재됐다.
...
#컬럼#암백신 #모더나 #흑색종#맞춤형 항암제#피부암#면역항암제#키트루다#메신저리보핵산#유전자변이#암세포#염기서열#mRNA#메디우스#MDUS

홍헌표 기자
캔서앤서
세포분열 끝난 노화 암세포, 다른 암세포 생존ㆍ전이 촉진

암 세포는 지능적이다. 항암제의 공격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피한다. 우리 몸의 면역세포의 힘을 키워 암세포와 싸우게 하는 면역항암제 치료를 무력화시킬 수도 있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이 암세포가 면역세포의 공격에서 살아남는 이유 중의 하나를 밝혀냈다. T세포, NK세포 등 우리 몸의 면역세포는 면역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경우 암 세포를 식별한 뒤 암 세포에 달라 붙여 공격을 진행한다.

그런데 암세포는 PD-1, PDL-1과 같은 단백질을 발현시켜 면역세포의 식별 또는 공격을 방해한다. 이를 ‘면역관문’이라고 하는데, 암치료에 쓰이는 면역항암제는 이 같은 면역관문이 작동하지 못하도록 만든다.

안타깝게도 면역항암제가 모든 환자에게 잘 듣지는 않는데,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이 그 이유를 밝혀낸 것이다. 연구팀은 크리스토퍼 유전자 가위(CRISPR) 기술을 활용해 쥐와 인간 폐암세포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ATXN3 유전자가 암세포의 PDL-1 단백질을 발현시켜 면역 회피를 촉진했다. ATXN3 유전자는 특히 비소세포폐암의 가장 흔한 유형인 선암과 흑색종 세포에서 PDL-1 단백질을 발현시켰다. 연구팀이 폐암 마우스 모델에서 ATXN3 유전자를 제거하자 면역 치료 효과가 높아졌다.


연구를 주도한 데유 팡 박사는 “ATXN3을 표적으로 삼는다면 면역 치료 효과가 높아지고 환자의 부작용을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임상 연구 저널(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에 최근 게재됐다.
...
#컬럼#노화암세포 #암성장 #면역억제 #노화종양세포 #암억제#세포분열#세포노화과정#CXCL12#면역반응억제#림프절전이#암의재발#항암효과#메디우스#MDUS

이보람 기자
캔서앤서
악성 뇌종양 '교모세포종' 재발 이유, 국립암센터가 규명

암 세포는 지능적이다. 항암제의 공격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피한다. 우리 몸의 면역세포의 힘을 키워 암세포와 싸우게 하는 면역항암제 치료를 무력화시킬 수도 있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이 암세포가 면역세포의 공격에서 살아남는 이유 중의 하나를 밝혀냈다. T세포, NK세포 등 우리 몸의 면역세포는 면역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경우 암 세포를 식별한 뒤 암 세포에 달라 붙여 공격을 진행한다.

그런데 암세포는 PD-1, PDL-1과 같은 단백질을 발현시켜 면역세포의 식별 또는 공격을 방해한다. 이를 ‘면역관문’이라고 하는데, 암치료에 쓰이는 면역항암제는 이 같은 면역관문이 작동하지 못하도록 만든다.

안타깝게도 면역항암제가 모든 환자에게 잘 듣지는 않는데,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이 그 이유를 밝혀낸 것이다. 연구팀은 크리스토퍼 유전자 가위(CRISPR) 기술을 활용해 쥐와 인간 폐암세포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ATXN3 유전자가 암세포의 PDL-1 단백질을 발현시켜 면역 회피를 촉진했다. ATXN3 유전자는 특히 비소세포폐암의 가장 흔한 유형인 선암과 흑색종 세포에서 PDL-1 단백질을 발현시켰다. 연구팀이 폐암 마우스 모델에서 ATXN3 유전자를 제거하자 면역 치료 효과가 높아졌다.


연구를 주도한 데유 팡 박사는 “ATXN3을 표적으로 삼는다면 면역 치료 효과가 높아지고 환자의 부작용을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임상 연구 저널(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에 최근 게재됐다.
...
#컬럼#교모세포종 #뇌종양 #뇌종양 재발#악성뇌종양#신경세포#암단백유전체#신경전달물질#표적항암제#베무라페닙#표준항암제#메디우스#MD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