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기 호르몬 치료 복합제제, 유방암 위험 높인다

폐경기 호르몬 치료제 중 복합제제가 유방암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르몬 치료 복합제제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토겐 성분이 다 들어간 약이다.
상계백병원 외과 곽금희 교수와 산부인과 육진성 교수는 2002년부터 2019년까지의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폐경기 호르몬 치료제와 유방암 위험의 관련성을 분석했다. 연구대상은 2003~2011년 기간 40세 이상의 폐경기 여성 120만 명이었다.
연구 결과,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토겐이 모두 함유된 복합제제를 복용한 여성에서 유방암 위험이 증가했다. 위험비(HR)는 1.439로, 이는 복합제제를 복용한 그룹이 폐경기 호르몬 치료제를 복용하지 않은 그룹보다 유방암 발생 위험이 43.9% 높았다는 의미다. 반면 티볼론, 경구 에스트로겐, 국소 에스트로겐을 처방받은 여성의 경우 유방암 위험이 증가하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는 폐경기 호르몬 치료에 사용되는 프로게스토겐이 유방암 위험과 관련이 있다는 기존 연구와 일치한다. 다만 복합제제가 아닌 에스트로겐 제제와 프로게스토겐 제제를 따로 처방 받아 복용한 여성은 유방암 위험이 증가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곽금희 교수는 "국내에서 프로게스토겐 단일제제로 처방되는 약품 중에는 상대적으로 유방암 위험이 낮은 약품이 포함돼 있고, 프로게스토겐 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유방암 위험에 영향을 줬을 가능성이 있다"며 "여러 종류의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복합제제 중 어느 약제가 유방암 위험과 관련이 있는지는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밝혀져야 한다"고 말했다.
육진성 교수는 "폐경기 호르몬 치료제를 복용할 때 유방암 위험을 걱정하는 환자가 많지만, 폐경기 호르몬 치료제 종류에 따라 유방암 위험이 다르고 유방암 발생률도 매우 낮은 편"이라며 "실제 유방암으로 진행돼도 폐경기 호르몬 치료제를 사용했던 유방암 여성은 생존률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유럽 내분비학 저널(European Journal of Endocrinology)' 최신판에 발표됐다.
#컬럼#유방암 #호르몬약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토겐 #호르몬복합제제#유방암위험#폐경기호르몬치료제#복합제제#산부인과#경구에스트로겐#메디우스#MD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