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성 위암 환자에게 면역항암제 치료를 할 경우 항생제 노출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연구가 나왔다. 항생제에 노출된 위암 환자는 면역항암제 치료 성적이 낮다는 것이다.
연세암병원 위암센터 종양내과 정민규·김창곤 교수와 강남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 정희철 교수, 연세대 의대 병리학교실 신수진 교수, 카이스트 이정석 교수·고준영 박사, 한국식품연구원 남영도 교수·신지희 박사 연구팀은 진행성 위암 환자가 면역 항암제 치료를 받기 전 항생제에 노출될 경우 무진행 생존율과 전체 생존율이 각각 65%, 55% 낮아진다고 5일 밝혔다.
진행성 위암이나 재발한 위암은 5년 생존율이 10% 내외로 낮다. 최근 옵디보, 키트루다 등 면역 항암제 덕분에 위암 환자의 전체 생존율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면역 항암제의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에 대한 연구가 부족해 환자들의 특성을 고려해 적절한 치료법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2014년 1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연세암병원과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면역 항암제로 치료 받은 진행성 위암 환자 253명을 대상으로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면역 항암제를 투약받기 전 28일 이내 항생제에 노출된 환자의 경우 무진행 생존율과 전체 생존율이 항생제에 노출되지 않은 환자보다 각각 65%, 5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세포독성 항암제를 투약 받은 환자들에서는 투약 전 28일 이내 항생제 노출과 치료 성적은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연구팀은 환자들의 혈액과 분변 시료를 추가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면역 항암제 투약 이전 항생제에 노출된 환자 그룹에서 장내 미생물총의 다양성 감소와 암세포에 대항하는 T세포의 기능 저하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장내 미생물총의 다양성과 순환 T세포의 기능 저하 정도가 면역 항암제 투약에 따른 치료 효과와 생존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임을 규명했다.
정민규 연세암병원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위암 환자의 면역 항암제 치료 전 항생제 노출력이 치료 성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면서 “향후 환자 치료에 있어 개인의 특성을 고려해 보다 향상된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세암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한국과학기술원, 지놈인사이트, 한국식품연구원이 공동으로 진행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셀 리포트 메디신(Cell Reports Medicine)' 최신호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