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에 BMI 지수 높아진 남성, 18가지 암 위험도 높아져
18세에 체질량 지수(BMI)가 높아진 남성은 18가지의 암 발병 위험이 커진다는 해외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에테보리대학 임상과학연구소의 아론 오네루프 교수 연구팀이 16~25세 남성 148만9115명의 의료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뉴스가 14일 보도했다.
BMI는 체중(㎏)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다. 미국, 유럽 등의 기준으로 18.4 이하는 저체중, 18.5∼24.9는 정상, 25∼29.9는 과체중, 30∼34.9는 비만, 35∼39.9는 고도비만, 40 이상은 초고도 비만으로 분류된다.
연구에 따르면 18세에 BMI가 높아지면 흑색종(악성 피부암), 백혈병, 골수종, 호지킨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폐암, 두경부암, 중추신경계 암, 갑상선암, 식도암, 위암, 췌장암, 간암, 담낭암, 대장암, 직장암, 신장암, 방광암 위험이 높아진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BMI와 암 사이에 선형 관계가 성립된다는 것이다. 선형 관계란 두 데이터 값 사이에 직선형의 관계가 나타나는 것으로, A값이 증가함에 따라 B값이 증가하는 경우가 포함된다. 이런 관계는 소화기계 암의 경우 가장 강했다. 어떤 암은 BMI가 20~25로 정상 범위인데도 연관이 있었다. 현행 BMI의 정상 범위 기준이 나이 든 연령층에는 적용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초기 성인기의 젊은 연령층에는 맞지 않아 BMI의 적정 기준을 더 낮춰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다만 전립선암은 BMI가 높을수록 발병 위험이 낮아지는 역관계를 보였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비만학회(Obesity Society) 학술지 '비만'(Obesity) 최신호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