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한 잔에 얼굴 빨개지는 남자, 술ㆍ담배 무조건 피해야 하는 이유

술 한두 잔에 얼굴이 빨개지는 남성은 음주 여부와 상관없이 그 자체만으로 협심증, 심근경색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양대 의대 응급의학교실 강보승·신선희 교수 연구팀이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팀의 2019∼2021년 19세 이상 2만2500명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연구 결과는 최근 열린 대한응급의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됐다.
술의 주성분인 에탄올은 체내에서 알코올 분해효소에 의해 1급 발암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로 바뀐다. 우리 몸에는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분해하는 효소가 있는데, 이 효소가 부족하거나 제 역할을 못하면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체내 축적량이 많아진다. 이 때 얼굴이 빨개지거나 피부가 가렵고, 맥박이 빨라지면서 심하면 두통 또는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음주 후 이런 증상을 보이는 사람은 미국과 유럽, 아프리카보다 한국과 중국, 일본 사람에게 많은 편이다. 유전적으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 효소의 기능이 떨어지는 탓이다.
이렇게 얼굴이 쉽게 빨개지는 사람들이 술을 마시지 않아도 협심증, 심근경색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5세 이상 남성 6000명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이런 위험이 1.34배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강보승 교수는 “연령, 흡연, 비만도,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위험 요인이 비슷할 경우 술 한두 잔에 얼굴이 붉어지는 체질을 가진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이 발생할 위험이 1.34배 높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렇게 얼굴이 빨개지는 사람이 담배까지 피우면 심혈관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2.6배로 높아진다고 경고했다. 앞서 일본 구마모토 병원 연구팀도 얼굴이 빨개지는 체질의 남성이 담배를 피우면 협심증 발생 위험이 6배로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강 교수는 “한국인에게는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효소의 기능이 떨어지는 것 자체가 심혈관이 막히게 할 위험을 높인다는 게 여러 연구로 확인된 사실”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술을 마시고 담배를 피우는 건 불에 기름을 붓는 격인 만큼, 연말연시 건강을 생각한다면 반드시 금주와 금연을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