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 원인 B형간염, '간 수치' 대신 '바이러스 수치' 근거로 치료 시작해야

간암 발생원인의 70%는 만성 B형간염이다. B형간염를 잘 치료하고 관리하는 게 간암 예방에 가장 중요하다는 의미다. 하지만 현재 건강보험 급여기준은 적기에 B형간염 치료를 시작하기 어렵게 돼 있다. 약물 치료를 시작하려면 ‘간 수치가 크게 상승했을 때’라는 조건 때문에 국내 B형간염 환자 중 약 18%만 치료받고 있다.
그런데 최근 간암 발생을 효과적으로 낮추기 위해서는 간 수치가 아니라 B형간염 바이러스 수치에 근거해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는 국내 연구결과가 나왔다. 간암 발생 위험을 낮추려면 복잡한 B형간염 치료 개시 기준을 혈중 바이러스 수치만을 기준으로 단순화하고 일찍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의 B형간염 치료 건강보험 급여기준은 매우 복잡하다. 바이러스 수치가 최소 2000 단위 이상이면서 간수치(AST 또는 ALT)가 정상 상한치의 2배(80 IU/L) 이상이어야 한다.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임영석, 최원묵 교수 연구팀이 만성 B형간염 성인 환자 9709명을 대상으로 간암 발생 위험을 수년간 추적관찰한 결과에 따르면, B형간염 바이러스 수치가 혈액 1mL당 1백만 단위(6 log10 IU/mL) 정도였던 환자들에서 간암 발생 위험이 가장 높았다. 해당 환자들은 장기간의 간염 치료 중에도 간암 발생 위험도가 50% 정도 낮아질 뿐 여전히 가장 높은 위험도를 유지했다.
연구팀은 B형간염 치료를 시작한 성인 환자 4693명을 평균 7.6년간 추적관찰했는데, 그 중 193명에서 간암이 발생했다. 반면 간염 치료를 받지 않은 5016명 중에서는 322명에게서 간암이 발생했다. 간염 치료가 간암 발생 위험을 전체적으로 약 50% 정도 감소시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B형간염 바이러스 수치가 1백만 단위에서 멀어질수록, 즉 매우 적거나(1만 단위 미만) 매우 많은(1억 단위 이상, ≥8 log10 IU/mL) 환자들일수록 간암 발생 위험은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이런 관계는 간염 치료 중에도 유지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현재 B형간염 건강보험 급여기준에 따르면 혈중 바이러스 수치가 높아도 간 수치가 정상이면 치료를 시작할 수 없다. 이번 연구는 간 수치가 정상이라도 바이러스 수치를 기준으로 간염 치료를 조기에 시행한다면 간암 발생자 숫자를 최대 6분의 1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연구 결과는 소화기 분야의 최고 권위지인 ‘거트(GUT, 피인용지수 24.5)’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으며, 국내외 B형간염 치료지침 및 건강보험 급여기준 개정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