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항암제+화학항암제' 병용요법, 돌연변이 양성 폐암에 효과

동양인에게 많은 돌연변이 양성 폐암에서 면역 항암제를 사용한 ‘새 치료 전략’의 임상적 유효성이 입증됐다. 돌연변이가 뚜렷한 폐암은 표적 항암제로 치료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표적항암제 내성을 피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면역 항암제를 써도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안명주·박세훈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팀과 대한항암요법연구회 소속 15개 기관 연구팀은 국내 16개 의료기관에서 모집한 EGFR 변이 환자 215명, ALK 변이 환자 13명 등 228명의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3상 결과, 면역 항암제를 활용한 면역·화학 병용 요법의 임상적 효능을 확인했다.
국내에 많은 EGFR, ALK 돌연변이 환자에게는 1차 치료제로 티로신키나아제 억제제(TKI)를 많이 쓴다. 하지만 치료 효과가 있더라도 TKI 억제제의 내성을 피할 수 없다. 이후 치료 대안으로 면역 항암제를 꼽기도 하지만, 유전자 돌연변이가 없는 다른 비소세포폐암 환자에 비해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안명주 교수 등 연구팀은 면역 항암제와 항혈관억제제, 항암화학제를 병용하는 치료법에서 실마리를 찾았다. 표적 항암제 치료 후 흔히 쓰는 백금기반 항암제 치료에 면역 항암제를 항혈관억제제와 함께 더하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연구팀은 EGFR 변이 환자, ALK 변이 환자 13명 등 총 228명을 무작위로 나눠 치료 전략을 달리했다. 한 그룹에는 면역 항암제인 티쎈트릭(성분명 아테졸리주맙)과 아바스틴(성분명 베바시주맙), 백금기반 항암제인 파클리탁셀·카보플라틴을 추가했다.
다른 그룹에는 표적 항암제 치료 후에 쓰는 표준 치료인 페메트렉시드에 카보플라틴 또는 시스플라틴을 병용 투여하고, 두 집단의 예후(치료 경과)를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치료 반응률은 면역 항암제 병용 투여 그룹이 69.5%로 기존 치료그룹의 41.9%보다 높았다. 무진행 생존 기간도 면역 항암제 병용 투여그룹이 8.48개월, 기존 치료그룹이 5.62개월로 병 진행 위험도 38%가량 낮게 평가됐다.
이런 경향은 면역 항암제의 효과를 가늠하는 지표인 PD-L1의 발현율이 증가할수록 함께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루닛 스코프(비소세포폐암 전용 분석 솔루션)로 확인했을 때 종양 침윤 림프구 밀도가 높았을 때도 비슷한 효과가 확인됐다.
안명주 교수는 “새 치료 전략이 유효하다는 것을 입증해 더 많은 환자에게 기회를 줄 수 있다는 점은 고무적”이라며 “다만 늘어난 약제만큼 심각하진 않더라도 부작용 우려를 완전히 배제하기 어려운 만큼 더 안전하고 정교한 방법으로 환자를 선별해 치료할 수 있도록 연구에 힘쓰겠다”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저널 오브 클리니컬 온콜로지(JOURNAL OF CINICAL ONCOLOGY)’에 소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