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치료, 청력 손상 유발 위험..."귀 건강에 신경 써야"
암 치료 후 일시적이든 장기적이든 청력이 떨어지는 경험을 가진 암경험자가 많다. 이와 관련된 미국 연구 결과가 최근 공개됐다.
미국 클리블랜드대학병원 연구팀이 2022년 8월부터 2023년 7월까지 청력 검사를 받고 국민건강영양조사 청력 설문지에 응답한 20~80세 성인 9337명(암경험자의 비율 10.3%)을 분석한 결과다.
연구팀은 청력 검사 결과를 주관적 청력 상실(난청 및 이명), 객관적 청력 상실(음성 주파수 및 고주파 청력 손상) 2가지로 나눈 뒤 암 경험자와 암을 겪지 않은 사람을 비교했다. 그 결과 암 경험자는 비경험자보다 난청 유병률이 43% 높고, 이명 유병률이 28% 높았다. 음성 주파수 청력 및 고주파 청력 손상 위험은 74%나 높았다.
연구팀은 나이, 항암치료와 방사선 치료 등이 청력 상실 위험을 높인 것으로 분석했다. 그중에서도 항암 치료에 사용되는 백금, 탁산 계열의 항암제가 청력 손상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알려졌다.
연구팀은 “청력 손상 위험이 높아지는 암 환자들의 청력 손상을 조기 선별하고, 청력 손상이 확인되면 적절한 치료와 정기검진을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학술지 ‘자마 이비인후과-두경부 외과(JAMA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