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기 좋은 환경, 비만 관련 암 발병 위험 낮춘다
암 발병과 생활 환경의 밀접한 연관 관계를 보여주는 해외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컬럼비아대와 뉴욕대 의대, 마운트 시나이 아이칸 의대 공동 연구팀이 1985년~1991년 사이 뉴욕시의 유방 촬영검사 센터에서 근무한 35~65세 여성 1만4274여명을 추적 조사한 연구 결과다.
연구팀은 연구 대상 여성들을 24년간 추적 관찰하면서 이들이 동네가 얼마나 걷기에 좋은 곳인지 목적지 접근성, 인구 밀도 등을 고려해 순위를 매겼다. 그 결과, 걷기 좋은 곳에 사는 여성은 비만과 관련된 암 발병률이 낮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비만은 신체 크기에 관계 없이 여성의 유방암, 난소암, 자궁내막암 등 13가지 유형의 암 발병 위험 증가와 관계가 있다. 지방 세포가 증가하거나 활성화되면 암세포의 에너지원으로 쓰이기 때문이다.
2016년 말까지 연구 대상자의 약 18%가 비만과 관련된 암에 걸렸다. 폐경 후 유방암이 53%였고, 대장암이 14%, 자궁내막암이 12%였다. 가장 걷기 좋은 곳에 살았던 여성들은 가장 걷기 어려운 지역에 살았던 여성들에 비해 비만 관련 암 위험이 2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도시 설계로 인한 보행 증가가 신체 활동량을 늘려 비만 관련 암 위험을 낮춘다고 분석했다. 컬럼비아대 의대 교수인 앤드류 런들 박사는 “걷기를 촉진하고, 전반적인 신체 활동을 늘리고, 자동차 의존도를 줄이는 맥락으로 도시 디자인을 추구하면 암 등의 질병을 예방을 포함해 건강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환경보건의 관점(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