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환자 서울 '빅5 병원' 쏠림 진료 9년새 42.5% 증가
국내 대형 상급종합병원을 일컫는 이른바 '빅5 병원’ 쏠림 현상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대병원·서울아산병원·서울성모병원·세브란스병원·삼성서울병원 등 빅5 병원에서 진료받은 지방 환자가 2013년 50만245명에서 2022년 71만3284명으로 42.5% 늘었다.
지방 환자들이 ‘빅5 병원’에서 가장 많이 진료받은 질환은 암으로 드러났다. 최근 10년간 ‘빅5 병원’ 비수도권 환자 다빈도 질환 1위는 유방암으로 집계됐다. 이어서 갑상선암, 위암, 폐암, 뇌혈관질환 순이었다. 이밖에도 망막장애, 간암, 협심증 등 중증질환이 대부분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빅5 병원’ 진료 인원이 가장 많은 지역은 충남으로 9만5921명이었다. 그 다음은 경북 8만2406명, 강원 7만1774명, 충북 7만627명, 경남 6만7802명, 전남 5만6861명 순으로 많았다.
지방 환자들이 ‘빅5 병원’에서 쓴 진료비(건보공단 청구금액과 본인부담금 합산)도 2013년 9103억9776만원에서 2022년 2조1822억2385만원으로 약 140% 증가했다.
지방 환자의 ‘빅5 병원’ 진료비 규모는 지난 2014년 처음 1조원을 넘어선 뒤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2021년에 2조399억여원을 기록하며 처음 2조원을 돌파했다. 고가의 비급여 항암제 등 비급여 진료비까지 합하면 지방 환자들이 ‘빅5 병원’에 지불하는 의료비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김 의원은 추정했다.
‘빅5 병원’에 대한 환자 쏠림 현상은 교통망 확충으로 인한 접근성 강화와 더불어 지방 거주 환자가 느끼는 지역간 의료격차가 크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지역거점 국립대학교 병원이 소재한 광역시보다는 지방 중소도시와 농어촌 환자들이 빅5 병원을 더 많이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