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 무너지게 한 것도, 무너진 마음을 다시 세운 것도 딸이었다

중학교 국어교사인 저자 강진경 씨는 38세에 유방암 진단을 받았다. 암 통보를 받은 순간 저자는 복잡한 감정에 사로잡혔다고 한다. ‘난임이라는 긴 터널을 뚫고 힘들게 얻은 아이가 이제 겨우 네 살인데.’, ‘남편은 아직 너무 젊은데.’, ‘부모님보다 먼저 가는 건 너무 큰 불효일텐데.’
저자는 울지 않으려고 버텼지만, 자칫하면 엄마 없이 남겨질 수도 있는 딸 생각에 무너졌다. 그런데 그렇게 무너진 마음을 다시 일으켜 세운 것은 바로 딸이었다. 저자는 책 읽기와 글쓰기를 가장 좋아한다. 암 투병 중에도 글을 쓸 때 맞이하는 내면의 평화를 느꼈고 자신이 치유되는 느낌이 들었다.
그렇게 강진경 작가는 유방암 투병 체험과 함께 소중했던 딸과 함께하는 일상과 대화를 기록했다. 딸의 말에 귀 기울이며 육아뿐 아니라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와 같은 인생의 답도 찾게 되었다고 한다.
최근 출간된 책 ‘아이는 말하고, 엄마는 씁니다’(머메이드)는 강진경 씨가 브런치스토리에 연재한 대화의 기록이다. 아픈 엄마를 일으켜 세우고 위로를 준 말, 부모에게 주는 사랑의 말, 일상에서 깨달음을 주는 말, 엄마를 웃게 하는 재치 있는 말, 엄마를 성장시키는 말.
“괜찮아 내가 엄마를 더 안아주면 되지!”
“엄마가 화내면 엄마가 덜 예쁘고, 엄마가 나 사랑해주면 엄마가 더 예뻐. 엄마가 화내면 내 기분이 어떨까?”“엄마, 예수님은 나쁜 아이도 사랑해?”
딸 아이의 말은 씨줄이 되고, 엄마의 글은 날줄이 되어 삶의 아픔을 포근하게 감싸주는 담요가 되고, 저자를 성장시키는 밑거름이 되었다. 저자는 “흔히 모성이 본능이라고 하지만, 아이가 부모에게 주는 사랑만큼 강렬하고 절대적이지 못하다”고 말한다.
강진경 작가는 서른 여덟까지 앞만 보고 치열하게 살아오다 암이라는 두려운 상대를 맞딱뜨리고서야 유한한 시간을 절감했다. 하지만 오늘, 여기, 지금이 얼마나 소중하고 감사한지 깨달았다고 했다.
저자의 주치의인 신희철 분당서울대병원 교수는 추천사에서 “이 책은 암투병이라는 어려움 속에서도 가족간 배려와 소통, 사랑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