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인 사망원인 1위는 암이었다.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2022년 사망원인 통계 결과'에서 나타났다.
지난해 한국인의 암 사망률(인구 10만명 당 사망자 수)은 162.7명으로 전체 사망원인 중 가장 높았다. 2위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65.8)의 2.5배에 달했다. 3위는 코로나19(61.0명), 4위는 폐렴(52.1명)이었다. 뇌혈관 질환(49.6명), 자살(25.2명), 알츠하이머병(22.7명), 당뇨병(21.8명), 고혈압성 질환(15.1명), 간 질환(14.7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녀 모두 암 사망률이 가장 높았고, 남자 암 사망률이 여성의 1.6배였다. 알츠하이머병은 남자 사망원인 10위를 기록하면서 처음 남자의 10대 사인에 포함됐다.
연령대별로 보면 전년과 마찬가지로 10∼30대 사망률은 자살이, 40대 이후는 암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난해 암 사망률(162.7명)은 전년보다 1.6명(1.0%) 증가했다. 암종 별로는 폐암36.3명), 간암(19.9명), 대장암(17.9명), 췌장암(14.3명), 위암(13.9명) 순으로 사망률이 높았다. 특히 지난해 췌장암 사망률은 전년보다 5.8% 상승하면서 위암 사망률을 처음 추월했다.
남자는 폐암(53.7명), 간암(29.1명), 대장암(20.6명) 순으로 사망률이 높았고, 여자는 폐암(18.9명), 대장암(15.2명), 췌장암(13.7명)의 순으로 많았다.
연령대별 암 사망률을 보면 30대는 위암(1.5명), 40대는 유방암(5.4명), 50대는 간암(16.9명), 60대는 폐암(55.4명)이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