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풍 있으면 심혈관질환 위험 높아...통풍 예방 치료법은?

통풍 환자는 뇌졸중과 심부전 등의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높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림대의대 성심병원 권미정(병리학교실)·강호석(소화기내과)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2002~2019)를 이용해 통풍 환자 2만2480명과 같은 수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통풍과 심혈관질환 사이의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12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내분비학 분야 국제학술지(Frontiers in endocrin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통풍(痛風)은 고기나 생선 등에 많이 들어있는 퓨린의 대사산물인 '요산'이 관절 및 관절 주위 조직에 침착되면서 발가락 관절, 발목 관절이나 다리 등에 염증성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오랜 시간 방치하면 통풍 결절(혹)이 울퉁불퉁 튀어나와 신발조차 제대로 신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진료 데이터를 보면, 지난해 통풍 환자는 50만8397명으로 4년 전인 2018년(43만3984명)보다 17.2% 늘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47만1569명(92.8%)으로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번 연구에서 통풍 환자의 연간 뇌졸중 발생률은 1000명당 9.84명으로 통풍이 없는 대조군(8.41명)보다 높았다. 또 혈관이 막히는 허혈성 심장질환과 심장의 기능이 떨어져 신체 조직에 필요한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심부전 발생률도 같은 조건에서 통풍 환자가 각각 9.77명, 2.47명으로 대조군의 8.41명, 1.46명보다 높았다.
연구팀은 이 분석 결과로 볼 때 통풍 환자에게 뇌졸중, 허혈성 심장질환, 심부전이 발생할 위험이 각각 대조군의 1.11배, 1.28배. 1.64배인 것으로 추산했다. 특히 통풍 환자에게 심혈관질환이 생길 위험은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더 높아지는 특징을 보였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연구팀은 유전적인 요인과 생활습관, 환경적 요인 등이 통풍 환자의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높이는 데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통풍 치료는 급성기 염증을 최대한 빨리 완화하고 염증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장기적으로는 고요산혈증을 치료해 혈액 내 요산 농도를 유지하고 요산 침착에 의한 관절이나 장기 손상을 예방해야 한다. 가장 기본적인 치료법은 식이요법과 생활 습관 교정이다.
식이요법으로는 과음이나 과식을 피하고 규칙적인 운동으로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 반드시 피해야 하는 음식으로는 내장(염통·간·콩팥 등), 과당이 많은 옥수수 시럽(corn syrup)이 함유된 음료수나 음식, 술이다. 육류, 해산물(등푸른생선·조개), 천연 과일주스, 설탕, 단 음료와 디저트, 소금 등도 주의해야 한다.
저지방 혹은 무지방 유제품과 채소 등은 통풍 예방에 도움이 된다. 또한 땀을 적당히 흘릴 수 있는 빠르게 걷기, 자전거 타기, 가벼운 등산, 수영, 산책하기 등 유산소운동도 통풍 예방에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