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 진단에 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앞으로는 활용이 아니라 아예 AI가 암 진단에서 의사의 역할을 대체할 수도 있다는 걸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의료 AI 개발 기업인 루닛은 자사의 유방암 AI 영상분석 서비스 ‘루닛 인사이트 MMG’가 유방암 검진 과정에서 전문의와 동일한 수준의 정확성을 보였다고 10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해 북미영상의학회 연례학술대회(RSNA 2022)에서 구연 발표됐으며, 세계적인 의학 학술지 ‘랜싯’의 자매지인 ‘랜싯 디지털헬스’ 8일자에 실렸다.
연구는 스웨덴 왕립 카롤린스카 연구소의 프레드릭 스트란드 박사 팀이 진행했다. 연구팀은 2021년 4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유방암 검진을 받은 스웨덴 여성 5만5581명을 대상으로 ‘루닛 인사이트 MMG’의 성능을 측정했다.
유방암 검진 시 영상의학과 전문의 2명이 이중 판독을 하는 유럽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전문의 2명 △루닛 AI+전문의 1명 △루닛 AI 단독으로 진단하는 3가지 경우로 나눠 결과를 비교했다. 그 결과, 수검자 1000명당 암 발견율(CDR)은 ‘AI+전문의 1명’이 4.3으로 가장 높았으며, ‘전문의 2명’과 ‘AI 단독’은 각각 4.1로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암 재검사를 위해 환자를 다시 부르는 ‘리콜률’에서는 ‘AI+전문의’는 2.8, ‘전문의 2명’은 2.93, ‘AI 단독’은 1.55였다. 암 발견율이 같다면 리콜 비율이 낮을수록 정확성이 높다고 본다.
스트란드 박사는 “현재 유럽에서는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부족해 유방암 진단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번 연구는 의사 한 명의 역할을 AI가 대신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한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번 연구는 ‘루닛 인사이트 MMG'와 특정 기업(필립스)의 유방촬영술 장비로만 진행됐으며, 인종별 유전적 특성이 고려되지 않았고, 일부 특이적 암종에 대한 서브 그룹을 구성하기엔 모집 수가 적었다는 평가가 있었다. 스트란드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를 의료 AI 전반으로 확대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