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암, PSA 검사보다는 MRI 검사가 더 정확하게 진단
전립선암을 진단하는 검사로 PSA(전립선특이항원) 검사보다는 MRI(자기공명영상) 촬영 검사가 더 정확하다는 해외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남성에게 많이 생기는 암 중 하나인 전립선암은 혈액 검사에서 나타나는 PSA의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으면 발병 가능성이 높다. 이런 PSA 검사는 가장 일반적인 전립선암 진단법이다.
그런데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병원(UCLH)의 캐롤라인 무어 교수가 영국 종양학 학술지 ‘BMJ 종양학(BMJ Oncology)’에 게재한 연구에 따르면 MRI 스캔 검사가 PSA보다 더 정확하다고 한다.
무어 교수는 50~75세 남성 303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이런 결론을 얻었다. 두 가지 검사를 모두 받은 303명 중 48명(16%)은 MRI 검사에서 암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들 중 25명은 추가 검사를 통해 암이 상당히 진전됐다는 결과를 받았다.
그런데 MRI에서 양성 판정을 받은 사람 중 절반 이상은 PSA 검사에서 정상으로 간주되는 3ng/mL보다 낮은 수치가 나왔다. PSA 수치로는 암 발병 가능성이 확인되지 않은 것이다.
무어 교수는 "PSA 검사가 보여주는 높은 수치는 감염이나 격렬한 운동, 성관계로 발생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암에 대한 과잉 진단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연구에서 나타난 것처럼 PSA 수치가 낮으면 암을 놓칠 수도 있다"며 "MRI가 잠재적으로 심각한 암을 조기에 발견하는 데 더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