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 환자 '삶의 질', 사망률과 깊은 연관성 있다"

폐암 환자의 삶의 질이 사망률과도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통증, 피로 등 신체·정신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스리면 치료 성적이 향상되고 건강하게 생존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는 의미다.
가톨릭대 은평성모병원에 따르면, 이 병원 폐암센터 여창동 교수(호흡기내과) 연구팀은 2017~2020년 가톨릭중앙의료원에서 폐암을 진단받은 환자 1297명을 대상으로 삶의 질과 폐암 생존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해 이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이 연구는 폐암 분야 국제학술지 'Clinical Lung Cancer' 최근호에 게재됐다.
진단 당시 모든 환자에게 유럽암학회에서 활용하는 '암 환자의 삶의 질 설문'을 진행하고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폐암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했다. 설문 항목은 크게 △신체 △역할 △정서 △인지 △사회 등 5가지 기능 영역에 9가지 증상(피로, 메스꺼움과 구토, 통증, 호흡곤란, 수면장애, 식욕부진, 변비, 설사, 경제적 어려움)으로 구성됐다.
기존에 폐암 예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인자는 고령, 남성, 흡연자, 진행성 폐암, 소세포 폐암 등으로 삶의 질을 다룬 연구는 드물었다. 이번 분석에 따르면 다섯 가지 기능 영역 중 신체 기능과 정서 기능 감소가 높은 폐암 사망률과 관련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신체ㆍ정서 기능 저하와 높은 사망률의 연관성은 초기 폐암(1~2기)과 진행성 폐암(3~4기)과 관계없이 모든 병기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신체 기능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폐암 증상으로는 암성 통증, 피로감, 호흡곤란이 확인됐다. 정서 기능 감소에 관련된 증상은 암성 통증, 피로감, 수면장애였다. 이 밖에 경제적 어려움은 신체·정서 기능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 요인으로 꼽혔다.
여창동 교수는 "이번 연구는 대규모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삶의 질 분석을 통해 폐암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고 치료 성적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면서 "모든 병기의 폐암 환자에서 신체·정서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통증, 피로감, 호흡곤란, 수면장애 등에 주목하고 증상을 적극적으로 완화 시켜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