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폐 체력(기능) 좋으면 폐암 등 9종류 암 덜 걸린다

달리기를 열심히 해 심폐지구력이 좋으면 여러 면에서 건강에 좋은데, 암에 걸리지 않을 확률도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젊었을 때 심폐체력(심폐지구력)이 좋은 남성은 일생 동안 9가지 암에 걸릴 위험이 최대 40% 낮다는 연구 결과다. 이들 9종 암은 두경부암, 식도암, 위암, 췌장암, 간암, 직장암, 결장암, 신장암, 폐암 등이다.
스웨덴 예테보리대 임상과학연구소는 국민징병제로 1968~2005년 군 복무를 시작한 징집병 약 107만8000명의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평균 33년 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 스포츠의학 저널(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온라인판에 실렸다.
연구를 맡은 아론 오너럽 박사(소아과)는 “이번 연구는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실험연구가 아니어서 연구에 한계가 있지만 그 결과는 미국임상종양학회의 ‘암 치료 중 운동 가이드라인’에 반영됐다”고 말했다.
심폐체력은 달리기, 자전거 타기, 수영 등 유산소 운동을 지속하거나 계단오르기를 할 수 있는 등의 능력이다. 이는 특정 암 위험을 낮추는 것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여러 암 부위에 대한 장기적인 대규모 연구는 거의 없었다. 연구팀은 징집병의 배경 정보, 의학적 진단 및 사망을 포함하는 스웨덴 등록부 데이터(2019년말까지)를 활용해 분석했다. 이들 징집병은 16~25세로 군 복무를 시작할 때 표준 평가를 받았다. 여기에는 심폐체력, 키, 체질량지수(BMI), 혈압, 근력 등이 포함됐다.
심폐체력 수준은 전체 징집병(122만6478명) 가운데 약 29.8%는 나빴고, 약 42.4%는 보통이었고, 약 27.8%는 좋았다. 심폐체력이 나쁜 징집병은 심폐체력이 좋은 징집병에 비해 비만일 확률이 약간 더 높았고, 알코올 및 약물남용 병력이 있을 확률이 더 높았고, 부모의 학력이 더 낮았다. 최종 분석에는 107만8000명이 포함됐다. 이들 가운데 약 7.8%(8만4117명)가 평균 33년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 한 부위 이상에 암이 발생했다.
연구 결과 징집 때 심폐체력이 좋았던 남성은 심폐체력이 나빴던 남성에 비해 특정 유형의 암 발병 위험이 비례적(선형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폐체력이 좋았던 남성은 심폐체력이 나빴던 남성에 비해 암 발생률(직장암 5%, 췌장암 12%, 결장암 18%, 두경부암 19%, 신장암 20%, 위암 21%, 식도암 39%, 간암 40%, 폐암 42%)이 더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심폐체력이 좋을수록 전립선암 위험은 7%, 피부암 위험은 31%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전립선 검진 소홀과 햇빛 노출이 이런 결과를 빚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식단, 알코올 섭취, 흡연 등 발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생활습관 위험 요인에 대한 완전한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했다는 점을 이번 연구의 한계로 꼽았다. 연구팀은 “건강한 젊은 남성의 심폐체력이 좋을수록 조사 대상인 18개 부위의 암 가운데 9개 부위 암에 걸릴 위험이 낮아진다”고 결론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