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대장암 급증 추세...음주가 발병 위험 높인다

음주가 50세 미만 젊은 성인의 대장암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신철민 교수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이용해 2009년 건강검진을 받은 20~49세 성인 566만 6576명을 최대 10년간 추적한 결과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암학회지’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대장암은 보통 50세 이후에 많이 발병하는데, 최근 ‘젊은’ 대장암 환자가 늘고 있다. 우리나라 20~49세 성인의 대장암 발병률은 인구 10만 명당 12.9명으로, 조사대상 42개국 중 1위다. 암환자 증가 속도 역시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젊은 대장암은 식습관, 비만, 흡연, 음주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해 많이 생긴다. 특히, 과도한 음주는 대장암 뿐 아니라 모든 암의 발생 위험 및 사망률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철민 교수팀 연구 결과, 50세 미만 성인 중 8314명이 대장암 진단을 받았다. 그 중에서 하루에 소주 1잔 미만으로 섭취하는 ‘가벼운 음주자’와 비교해 중증도 음주자(남 1~3잔/일, 여 1~2잔/일)와 고도 음주자(남 3잔 이상/일, 여 2잔 이상/일)의 발병 위험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증도 음주자의 경우 대장암 발병 위험이 9% 증가했으며, 고도 음주자의 경우 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 빈도로 보면, 술을 전혀 마시지 않는 사람과 비교해 주 1~2회 음주자는 7%, 주 3~4회 음주자는 14%, 주 5회 이상 음주자는 27% 대장암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주로 인한 대장암 발병 위험은 암 발생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음주량과 빈도에 따라 좌측 대장암과 직장암에서 대장암 발생 위험이 증가했으며, 우측 대장암의 경우 의미 있는 연관성이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교신 저자 신철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젊은 대장암의 위험인자로서 음주의 영향을 분석한 대규모 역학 연구”라며 “젊은 연령층에서 대장암 발병이 급증하고 있는 만큼 과도한 음주가 대장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