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생존자 5명중 1명 수면장애...면역력 저하로 생존에 영향
암 생존자 5명 중 1명은 암 재발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인해 수면장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 개시 또는 수면 유지가 주 3회 이상 어려운 상태’를 의미하는 수면장애는 암 생존자가 가장 흔하게 겪는 증상 중 하나로, 미국과 캐나다 연구에서 암 환자의 33~43%가 수면 장애를 겪는 것으로 조사된 적이 있다. 수면 장애는 암 생존자의 면역력 저하와 관련돼 있어 생존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친다.
성균관대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송윤미 교수팀은 2014~2017년 사이 대학병원 두 곳에서 암 치료를 받은 1893명(평균 나이 58.1세)의 수면 실태를 분석한 결과를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게재했다.
조사에 따르면 암 생존자의 수면장애 유병률은 19.1%를 기록했다. 수면장애 유병률은 암 발생 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유방암 생존자의 수면장애 유병률이 23.6%로 가장 높았다.
암 생존자의 수면장애 유병률은 남성(16.5%)보다 여성(20.3%)이 높았다. 여성 암 생존자 중에서 암 재발에 대한 두려움이 크면 클수록 수면 장애 위험이 1.5배였고, 불안 평가 점수가 높으면 1.8배, 폐경을 맞으면 1.7배로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불안은 신경전달물질과 수면 상태를 조절하는 특정 뇌 영역을 조절해 수면 상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남성 암 생존자의 경우 배우자 혹은 파트너와 함께 살면 수면장애 위험이 57%나 낮아졌다. 나이에 따라서도 수면장애 정도가 달랐다. 남성의 경우 나이를 한 살 더 먹을수록 수면장애 위험이 4%씩 증가했으나, 반대로 여성 암 환자는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송 교수는 "성인 암 생존자의 5분의 1은 수면 장애가 있으며, 나이·폐경 여부·암 재발에 대한 두려움·불안·배우자 또는 파트너와 함께 생활하는 것 등이 암 생존자의 수면 장애에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