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암, 전이 없다면 수술 안해도 사망률 큰 차이없다
고령화가 빨라지면서 남성의 전립선암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전립선암은 진행 속도가 느린 암이기 때문에 전립선암을 발견한 시점에 따라서는 수술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 제기되고는 했다.
최근 전립선암이 다른 부위로 전이되지 않은 상태라면 굳이 수술하지 않아도 수술한 것이나 사망률에서 비슷한 결과를 갖게 된다는 추적연구 결과를 인용하면서 수술 여부 결정을 신중히 할 것을 권고하는 전문가들이 늘고 있다.
국제학술지 '뉴잉글랜드 의학저널(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발표된 전립선암 치료 전략에 대한 연구는, 50~69세 전립선암 영국인 환자 1600여 명을 대상으로 암이 전이되지 않고 전립선에만 국한된 경우만을 대상으로 해 추적연구를 진행했다. 환자를 무작위로 세 그룹으로 나눠서, 각각 전립선 제거 수술, 방사선 치료, 치료 없이 적극 관찰만 하고 필요한 경우에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를 받도록 했다.
이후 환자를 15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총 356명(22%)이 사망했는데, 전립선암에 의한 사망은 45명(2.7%)뿐이었다. 치료 없이 관찰한 그룹에서는 17명(3.1%), 수술 그룹에서는 12명(2.2%), 방사선 치료 그룹에서는 16명(2.9%)이 사망해서 세 그룹 간에 전립선암에 의한 사망률은 차이가 없었다. 적극 관찰 그룹에서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 그룹보다 전이가 더 많이 관찰됐지만, 전체 사망률에는 차이가 없었다.
전문가들은 국소 전립선암은 적극 관찰만 하고 나중에 필요하면 수술해도 사망률에 차이가 없다고 결론짓고 있다. 암이라고 진단됐는데 의사가 치료하지 말고 두고 보자고 하면 환자는 당황스러울 수 있다. 하지만 갑상선암, 전립선암과 같이 천천히 자라는 암은 예외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면 불필요한 수술을 줄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