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kao   telegram
  홍헌표 기자
  캔서앤서

당뇨로 인한 유방암 치료에 중요한 작용할 표적 발견

홍헌표 기자
캔서앤서
대장암 여성 발병률이 남성보다 낮은 이유, 유산균ㆍ낙산균 덕분

당뇨 합병증으로 생긴 유방암 환자 치료에 중요한 표적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과 박지영 교수 연구팀이 발견했다.

8일 UNIST에 따르면 박지영 교수 연구팀은 당뇨로 인한 유방암 진행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 Nrg1(Neuregulin 1)의 조절 경로 기전을 규명했다. Nrg1은 암의 성장을 돕는 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혈당이 있는 유방암 세포에서 Nrg1의 발현이 증가하는데, 이에 대한 기전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단백질체 분석을 통해 고혈당 자극에 노출된 유방암 세포의 Nrg1 증폭자(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하는 DNA 염기서열) 영역에 RBPJ 단백질이 결합하는 것을 발견했다.

또 이것이 노치 신호전달 경로(Notch signaling pathway) 활성화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검증했다. 노치 활성화에 의해 Nrg1의 증폭자 영역에 히스톤 단백질(염색체 구조를 형성하는 단백질)과 생화학적 변성을 조절하는 단백질이 결합한다. 이에 Nrg1 증폭자 부분의 염색질 구조에 변화가 일어나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게 된다.

연구팀은 고혈당 자극에 의한 노치 신호전달 체계를 억제했을 때 Nrg1 발현이 감소하고, 암 성장 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 고혈당 유방암 생쥐 모델에서 노치 억제 약물을 투여해 표적 항암제 라파티닙(Lapatinib)의 항암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지난 1월 27일 자로 게재됐다.




...
#컬럼#대장암 #대장선종 #낙산균 #유산균 #장내세균 #유익균 #대장암발병률#여성대장암#대변데이터#메디우스#MDUS

홍헌표 기자
캔서앤서
KAIST, 면역세포 억제해 간암 유발하는 기전 규명

당뇨 합병증으로 생긴 유방암 환자 치료에 중요한 표적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과 박지영 교수 연구팀이 발견했다.

8일 UNIST에 따르면 박지영 교수 연구팀은 당뇨로 인한 유방암 진행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 Nrg1(Neuregulin 1)의 조절 경로 기전을 규명했다. Nrg1은 암의 성장을 돕는 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혈당이 있는 유방암 세포에서 Nrg1의 발현이 증가하는데, 이에 대한 기전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단백질체 분석을 통해 고혈당 자극에 노출된 유방암 세포의 Nrg1 증폭자(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하는 DNA 염기서열) 영역에 RBPJ 단백질이 결합하는 것을 발견했다.

또 이것이 노치 신호전달 경로(Notch signaling pathway) 활성화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검증했다. 노치 활성화에 의해 Nrg1의 증폭자 영역에 히스톤 단백질(염색체 구조를 형성하는 단백질)과 생화학적 변성을 조절하는 단백질이 결합한다. 이에 Nrg1 증폭자 부분의 염색질 구조에 변화가 일어나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게 된다.

연구팀은 고혈당 자극에 의한 노치 신호전달 체계를 억제했을 때 Nrg1 발현이 감소하고, 암 성장 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 고혈당 유방암 생쥐 모델에서 노치 억제 약물을 투여해 표적 항암제 라파티닙(Lapatinib)의 항암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지난 1월 27일 자로 게재됐다.




...
#컬럼#간암 #대식세포 #간암원인#간암발병#대사성상호작용#세포독성#대식세포침윤#섬유화#간성상세포#레티노익산#간암종양#면역세포#간성상세포#메디우스#MDUS

홍헌표 기자
캔서앤서
대장내시경 15년마다 해도 된다..."가족력 없고 첫 검사 음성이면"

당뇨 합병증으로 생긴 유방암 환자 치료에 중요한 표적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과 박지영 교수 연구팀이 발견했다.

8일 UNIST에 따르면 박지영 교수 연구팀은 당뇨로 인한 유방암 진행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 Nrg1(Neuregulin 1)의 조절 경로 기전을 규명했다. Nrg1은 암의 성장을 돕는 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혈당이 있는 유방암 세포에서 Nrg1의 발현이 증가하는데, 이에 대한 기전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단백질체 분석을 통해 고혈당 자극에 노출된 유방암 세포의 Nrg1 증폭자(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하는 DNA 염기서열) 영역에 RBPJ 단백질이 결합하는 것을 발견했다.

또 이것이 노치 신호전달 경로(Notch signaling pathway) 활성화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검증했다. 노치 활성화에 의해 Nrg1의 증폭자 영역에 히스톤 단백질(염색체 구조를 형성하는 단백질)과 생화학적 변성을 조절하는 단백질이 결합한다. 이에 Nrg1 증폭자 부분의 염색질 구조에 변화가 일어나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게 된다.

연구팀은 고혈당 자극에 의한 노치 신호전달 체계를 억제했을 때 Nrg1 발현이 감소하고, 암 성장 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 고혈당 유방암 생쥐 모델에서 노치 억제 약물을 투여해 표적 항암제 라파티닙(Lapatinib)의 항암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지난 1월 27일 자로 게재됐다.




...
#컬럼#대장암 #대장내시경검사#대장암가족력#대장암음성#추적조사#대장암사망#대장내시경주기#재검사#메디우스#MDUS

이보람 기자
캔서앤서
재발 전립선암, 2~3가지 호르몬 차단제 함께 쓰면 더 효과

당뇨 합병증으로 생긴 유방암 환자 치료에 중요한 표적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과 박지영 교수 연구팀이 발견했다.

8일 UNIST에 따르면 박지영 교수 연구팀은 당뇨로 인한 유방암 진행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 Nrg1(Neuregulin 1)의 조절 경로 기전을 규명했다. Nrg1은 암의 성장을 돕는 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혈당이 있는 유방암 세포에서 Nrg1의 발현이 증가하는데, 이에 대한 기전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단백질체 분석을 통해 고혈당 자극에 노출된 유방암 세포의 Nrg1 증폭자(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하는 DNA 염기서열) 영역에 RBPJ 단백질이 결합하는 것을 발견했다.

또 이것이 노치 신호전달 경로(Notch signaling pathway) 활성화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검증했다. 노치 활성화에 의해 Nrg1의 증폭자 영역에 히스톤 단백질(염색체 구조를 형성하는 단백질)과 생화학적 변성을 조절하는 단백질이 결합한다. 이에 Nrg1 증폭자 부분의 염색질 구조에 변화가 일어나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게 된다.

연구팀은 고혈당 자극에 의한 노치 신호전달 체계를 억제했을 때 Nrg1 발현이 감소하고, 암 성장 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 고혈당 유방암 생쥐 모델에서 노치 억제 약물을 투여해 표적 항암제 라파티닙(Lapatinib)의 항암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지난 1월 27일 자로 게재됐다.




...
#컬럼#전립선암 #암재발#남성호르몬차단제#재발전립선암#안드로겐차단요법#복합치료#ADT 단독치료#혈중테스토스테론#PSA수치#메디우스#MDUS

최윤호 기자
캔서앤서
5년 생존율 30%' 담도암, 조기진단 길 열렸다

당뇨 합병증으로 생긴 유방암 환자 치료에 중요한 표적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과 박지영 교수 연구팀이 발견했다.

8일 UNIST에 따르면 박지영 교수 연구팀은 당뇨로 인한 유방암 진행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 Nrg1(Neuregulin 1)의 조절 경로 기전을 규명했다. Nrg1은 암의 성장을 돕는 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혈당이 있는 유방암 세포에서 Nrg1의 발현이 증가하는데, 이에 대한 기전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단백질체 분석을 통해 고혈당 자극에 노출된 유방암 세포의 Nrg1 증폭자(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하는 DNA 염기서열) 영역에 RBPJ 단백질이 결합하는 것을 발견했다.

또 이것이 노치 신호전달 경로(Notch signaling pathway) 활성화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검증했다. 노치 활성화에 의해 Nrg1의 증폭자 영역에 히스톤 단백질(염색체 구조를 형성하는 단백질)과 생화학적 변성을 조절하는 단백질이 결합한다. 이에 Nrg1 증폭자 부분의 염색질 구조에 변화가 일어나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게 된다.

연구팀은 고혈당 자극에 의한 노치 신호전달 체계를 억제했을 때 Nrg1 발현이 감소하고, 암 성장 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 고혈당 유방암 생쥐 모델에서 노치 억제 약물을 투여해 표적 항암제 라파티닙(Lapatinib)의 항암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지난 1월 27일 자로 게재됐다.




...
#컬럼#담도암 #담도암 조기진단 #담도암 진단 #협대역내시경기술 #담도내시결 #담도내시경 분류법 #담도내시경#메디우스#MDUS

홍헌표 기자
캔서앤서
유방 엑스레이 영상 판독, AI 활용하면 정확도 더 높다

당뇨 합병증으로 생긴 유방암 환자 치료에 중요한 표적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과 박지영 교수 연구팀이 발견했다.

8일 UNIST에 따르면 박지영 교수 연구팀은 당뇨로 인한 유방암 진행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 Nrg1(Neuregulin 1)의 조절 경로 기전을 규명했다. Nrg1은 암의 성장을 돕는 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혈당이 있는 유방암 세포에서 Nrg1의 발현이 증가하는데, 이에 대한 기전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단백질체 분석을 통해 고혈당 자극에 노출된 유방암 세포의 Nrg1 증폭자(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하는 DNA 염기서열) 영역에 RBPJ 단백질이 결합하는 것을 발견했다.

또 이것이 노치 신호전달 경로(Notch signaling pathway) 활성화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검증했다. 노치 활성화에 의해 Nrg1의 증폭자 영역에 히스톤 단백질(염색체 구조를 형성하는 단백질)과 생화학적 변성을 조절하는 단백질이 결합한다. 이에 Nrg1 증폭자 부분의 염색질 구조에 변화가 일어나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게 된다.

연구팀은 고혈당 자극에 의한 노치 신호전달 체계를 억제했을 때 Nrg1 발현이 감소하고, 암 성장 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 고혈당 유방암 생쥐 모델에서 노치 억제 약물을 투여해 표적 항암제 라파티닙(Lapatinib)의 항암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지난 1월 27일 자로 게재됐다.




...
#컬럼#유방암 #유방암 진단 #유방 엑스레이 촬영 #영상전문의#메디우스#MDUS

홍헌표 기자
캔서앤서
척추 전이 폐암, 표적항암 치료 효과 기대되면 적극 치료 해야

당뇨 합병증으로 생긴 유방암 환자 치료에 중요한 표적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과 박지영 교수 연구팀이 발견했다.

8일 UNIST에 따르면 박지영 교수 연구팀은 당뇨로 인한 유방암 진행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 Nrg1(Neuregulin 1)의 조절 경로 기전을 규명했다. Nrg1은 암의 성장을 돕는 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혈당이 있는 유방암 세포에서 Nrg1의 발현이 증가하는데, 이에 대한 기전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단백질체 분석을 통해 고혈당 자극에 노출된 유방암 세포의 Nrg1 증폭자(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하는 DNA 염기서열) 영역에 RBPJ 단백질이 결합하는 것을 발견했다.

또 이것이 노치 신호전달 경로(Notch signaling pathway) 활성화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검증했다. 노치 활성화에 의해 Nrg1의 증폭자 영역에 히스톤 단백질(염색체 구조를 형성하는 단백질)과 생화학적 변성을 조절하는 단백질이 결합한다. 이에 Nrg1 증폭자 부분의 염색질 구조에 변화가 일어나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게 된다.

연구팀은 고혈당 자극에 의한 노치 신호전달 체계를 억제했을 때 Nrg1 발현이 감소하고, 암 성장 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 고혈당 유방암 생쥐 모델에서 노치 억제 약물을 투여해 표적 항암제 라파티닙(Lapatinib)의 항암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지난 1월 27일 자로 게재됐다.




...
#컬럼#비소세포폐암 #척추전이 #폐암전이 #표적항암제#신경학적 증상#메디우스#MDUS

홍헌표 기자
캔서앤서
간접 흡연도 폐암 원인... 흡연과 다른 기전, 과학적으로 밝혀져

당뇨 합병증으로 생긴 유방암 환자 치료에 중요한 표적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과 박지영 교수 연구팀이 발견했다.

8일 UNIST에 따르면 박지영 교수 연구팀은 당뇨로 인한 유방암 진행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 Nrg1(Neuregulin 1)의 조절 경로 기전을 규명했다. Nrg1은 암의 성장을 돕는 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혈당이 있는 유방암 세포에서 Nrg1의 발현이 증가하는데, 이에 대한 기전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단백질체 분석을 통해 고혈당 자극에 노출된 유방암 세포의 Nrg1 증폭자(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하는 DNA 염기서열) 영역에 RBPJ 단백질이 결합하는 것을 발견했다.

또 이것이 노치 신호전달 경로(Notch signaling pathway) 활성화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검증했다. 노치 활성화에 의해 Nrg1의 증폭자 영역에 히스톤 단백질(염색체 구조를 형성하는 단백질)과 생화학적 변성을 조절하는 단백질이 결합한다. 이에 Nrg1 증폭자 부분의 염색질 구조에 변화가 일어나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게 된다.

연구팀은 고혈당 자극에 의한 노치 신호전달 체계를 억제했을 때 Nrg1 발현이 감소하고, 암 성장 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 고혈당 유방암 생쥐 모델에서 노치 억제 약물을 투여해 표적 항암제 라파티닙(Lapatinib)의 항암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지난 1월 27일 자로 게재됐다.




...
#컬럼#비흡연폐암 #간접흡연 #폐암#담배연기#비소세포 폐암수술#여성흡연자#비흡연자#비자발적 흡연#폐암발병위험#유전자돌연변이#메디우스#MD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