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로 인한 유방암 치료에 중요한 작용할 표적 발견
당뇨 합병증으로 생긴 유방암 환자 치료에 중요한 표적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과 박지영 교수 연구팀이 발견했다.
8일 UNIST에 따르면 박지영 교수 연구팀은 당뇨로 인한 유방암 진행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 Nrg1(Neuregulin 1)의 조절 경로 기전을 규명했다. Nrg1은 암의 성장을 돕는 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혈당이 있는 유방암 세포에서 Nrg1의 발현이 증가하는데, 이에 대한 기전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단백질체 분석을 통해 고혈당 자극에 노출된 유방암 세포의 Nrg1 증폭자(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하는 DNA 염기서열) 영역에 RBPJ 단백질이 결합하는 것을 발견했다.
또 이것이 노치 신호전달 경로(Notch signaling pathway) 활성화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검증했다. 노치 활성화에 의해 Nrg1의 증폭자 영역에 히스톤 단백질(염색체 구조를 형성하는 단백질)과 생화학적 변성을 조절하는 단백질이 결합한다. 이에 Nrg1 증폭자 부분의 염색질 구조에 변화가 일어나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게 된다.
연구팀은 고혈당 자극에 의한 노치 신호전달 체계를 억제했을 때 Nrg1 발현이 감소하고, 암 성장 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 고혈당 유방암 생쥐 모델에서 노치 억제 약물을 투여해 표적 항암제 라파티닙(Lapatinib)의 항암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지난 1월 27일 자로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