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중 비타민D 농도 높을수록 대장암 위험 낮다
혈중 비타민D 농도가 높을수록 대장암 발생 위험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데이터관리센터 연구팀은 2011년~2018년 강북삼성병원 종합건진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23만여 명을 6년 반 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를 미국 ‘소화기 내과학저널(Gastroenterology)’에 게재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참여 대상자를 연령대별로 △50세 미만 △50세 이상 두 그룹으로 나누어 혈중 비타민D 농도에 따른 대장암 발생과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혈중 비타민D 농도는 건강한 인구집단에서의 권고 수치인 '20ng/mL 이상'인 경우를 '충분'으로 정의하고, 각각 △10ng/mL 미만 △10~19ng/mL △20ng/mL 이상의 세 그룹으로 분류했다.
연구 결과, 50세 미만과 50세 이상 연령층 모두에서 혈중 비타민D 농도가 높을수록 대장암 발생 위험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타민D 혈중농도가 가장 높은 '20ng/mL 이상' 그룹은 혈중농도가 가장 낮은 '10ng/mL 미만'인 그룹보다 대장암 발생 위험이 크게 낮았는데, 50세 미만은 59%, 50세 이상은 48%까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강북삼성병원 데이터관리센터 장유수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요즘 젊은층에서 보고되는 조기 대장암의 가파른 증가에 비타민D 부족이 관여됐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현재 50세 미만은 대장암 검진 대상으로 분류되지 않는 만큼 20분 이상 햇볕 쬐기, 비타민D가 풍부한 음식 섭취, 필요시 보충제의 복용 등 대장암 예방 습관을 가질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