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을 부르는 간염, 2030년까지 B형-C형간염 퇴치한다
초기 증세가 없어 '침묵의 암'이라고 불리는 간암은 국내에서 폐암에 이어 사망자가 두 번째로 많은 암이고, 바이러스 B형과 C형간염은 간암 원인의 70%를 차지한다. 간염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추기 위한 전주기 관리체계가 구축된다.
질병관리청은 간염 예방·진단·치료를 아우르는 '제1차 바이러스 간염(B형·C형) 관리 기본계획'을 최근 수립했다고 17일 밝혔다. 기본계획의 목표는 2027년까지 바이러스 B형·C형간염으로 인한 간질환 사망률을 2015년 대비 40% 줄이고, 2030년에는 두 간염을 완전히 퇴치하는 것이다. 2015년 인구 10만 명당 사망률은 B형간염이 20.8명, C형간염은 2.5명이었다. 2027년 단기 목표 달성을 위해 B형간염 사망률은 12.5명, C형간염은 1.5명으로 줄여야 한다.
질병청은 △출산 전후 기간 B형간염 감염 예방 관리 강화 △C형간염 국가건강검진 도입 △지역 기반 간염 발견·관리 체계 마련 △국제협력 및 연구개발 투자 강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바이러스 간염 퇴치추진단'을 운영해 올 상반기 중 세부과제별 실행계획을 수립한다. 조기 발견과 치료뿐 아니라 검증된 간염 정보 제공 및 확산을 통한 예방관리를 위해 이날 대한간학회와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바이러스 B형·C형간염은 만성화 및 중증화로 간경변, 간암을 유발하지만 질병에 대한 국민의 인식은 낮다. 2019년 질병청 조사에서는 일반인 중 C형간염에 대해 알고 있는 비율이 34%에 그쳤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대한간학회와의 업무협약이 환자 조기 발견 및 치료를 제공하는데 중추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