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음하는 당뇨 환자는 간암 위험이 술을 마시지 않고 혈당이 정상인 사람의 3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유수종·조은주 소화기내과 교수와 정고은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교수, 한경도 숭실대 교수 공동연구팀이 국제학술지 ‘플로스 의학(PLOS Medicine)’에 게재한 연구 논문의 핵심 내용이다.
공동연구팀은 2009년 국가건강검진에 참여한 성인 938만7670명을 공복혈당 수치에 따라 ‘정상 혈당’(100㎎/dL 미만), ‘전당뇨’(100~125㎎/dL), ‘당뇨’(126㎎/dL 이상)의 3개 그룹으로 나눴다. 그리고 각 집단을 1주 당 알코올 섭취량에 따라 ‘비음주’(0g), ‘경·중등도 음주’(1~209g), ‘과음’(210g 이상)로 나눈 뒤 8년 이상 추적 관찰한 결과, 3만4321명(0.37%)에게서 간암이 발생했다.
각 집단별 간암 발생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혈당이 높을수록 알코올 섭취량 증가에 따라 간암 위험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혈당 그룹’과 ‘전당뇨 그룹’에 비해 ‘당뇨 그룹’에서 알코올 섭취 증가에 따른 간암 위험이 더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정상혈당으로 술을 마시지 않은 그룹과 비교했을 때, ‘당뇨 과음’ 그룹과 ‘당뇨 경·중등도 음주’ 그룹의 간암 위험은 각각 3.29배와 2.02배였다.. 그보다 혈당 수치가 낮은 ‘전당뇨 과음’ 그룹과 ‘경·중등도 음주’ 그룹에서도 간암 위험은 각각 1.67배, 1.19배로 증가했다.
혈당이 정상인 그룹이라도 과음 그룹은 비음주 그룹보다 간암 위험이 1.39배로 높았다. ‘당뇨 비음주’ 그룹은 1.64배로 ‘정상 혈당 과음’ 그룹보다 간암 위험 증가폭이 커서 당뇨병 환자는 음주량과 관계없이 간암 위험이 높게 나타났다. 당뇨 또는 전당뇨 진단을 받은 사람은 적극적으로 금주를 실천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다.
과도한 알코올 섭취와 높은 혈당 수치는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해 간암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연구에선 이 2가지 위험인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간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최초로 규명했다.
이 밖에 간암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위험인자로 B형 간염 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 과체중, 흡연 등이 꼽힌다.